민선6기 윤장현시장이 들어서면서 광주시에서는 청년정책에 관심을 갖고 역점적으로 여러 사업을 진행중이다. 전국 최초로 청년정책 전담 부서인 ‘청년인재육성과’를 2014년 7월에 신설해 운영해 왔으며, 올해에는 ‘청년정책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청년전담부서로서의 위상을 제고하고 있다. 광주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청년정책이 3년을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의 청년정책에 대해 진단하고 보안할 점은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편집자주] |
▲ 2016 청년도시컨퍼런스에서 청년들이 주제별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 (주)잇다 |
광주에서 청년으로 산다는 것에 대해 청년들은 ‘청년처럼 보이지 말 것’을 당부했다.
청년 사업가도 청년이라서 무책임하고 무능력하다는 말을 남기기 싫어서라도 부끄럽지 않게 일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식당, 편의점, 카페 등에서 청년들이 파트 타임으로 일하는 것만 보다 청년 사업가들과 일을 하려고 하니 미덥지 않게 보는 시선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일을 하는 순간 동등한 관계여야 하는데 청년을 바라보는 시각은 서비스 제공자, 복지 수혜자, 미성숙한 자녀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말이다. 이는 관공서에서의 사업추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광주시에서는 청년정책에 관심을 갖고 2015년과 2016년 실시했던 청년관련 사업을 청년들에게 위탁을 주거나 청년들이 직접 행사를 진행하게 했다.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나 세계청년축제, 청년도시컨퍼런스, 꿈꾸는테이블 등 청년관련 행사의 기획과 진행을 청년의 시각에서 진행하겠다는 취지는 좋았지만, 이 행사의 기획과 진행을 맡은 청년 기획자나 청년 사업가들은 광주시와 직접 사업을 진행하면서 불편함을 토로했다.
‘청년도시 광주’를 표방하며 실시했던 사업 중 청년의 자립과 자존을 지원하면서 청년의제를 발굴하고자 했던 ‘꿈꾸는 테이블’을 진행했던 청년기획자는 계약서 없이 일을 진행했다가 담당주무관의 사비로 인건비를 지급받아야 했다. 청년도시컨퍼런스의 입찰에 참여하여 낙찰이 되어 참여한 청년 사업가는 당초 계획했던 행사에도 없던 무대비용 때문에 큰 골치를 앓고 있다.
청년 기획자나 문화사업가들 사이에서는 관이 주도하는 청년사업들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2년간 펼쳐진 행사에서 나온 잡음들이 더 큰 문제로 어디에선가 누군가 받으면 터질지도 모르는 ‘폭탄돌려받기’가 될 것이라고 한다.
지난해 청년도시컨퍼런스를 진행했던 ‘잇다’의 무대비용떠넘기기 사건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담당 공무원과 행사진행자 간의 문제로만 볼 수 없는 사건이다. 무언가 보여주고 실적으로 남기기에 급급한 관공서의 관행 탓을 하기에는 청년들이 받는 상처가 너무 크다.
이에 대해 청년문화허브의 정두용 이사장은 “관에서 청년 관련 사업을 진행할 때 일에 대한 성과를 기존의 정량적인 기준에 맞춰 평가하려하지 말고 청년 관련 사업의 수혜자인 청년들의 시각에 맞춰 평가하는 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존의 행사처럼 많은 인원을 동원하는 행사도 가능하겠지만 청년의 시각에서 청년들이 도맡아 진행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추후 평가 항목을 정량적으로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올해에도 시는 세계청년축제를 진행한다. 7월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치러질 이번 행사는 청년 총감독을 공모를 통해서 선정할 예정이다. 만 19세이상 39세 이하 광주시 거주 청년이 기본 자격요건이다.
총감독 뿐만 아니라 실제 운영진도 눈여겨 봐야 할 것이다. 작년, 재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똑같은 운영팀이 진행할 수도 있다. 왜냐면 광주에서 그만한 팀이 없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청년 문화 사업가들에게 기회를 주고 참신한 아이디어로 진행할 수 있는 청년 사업가를 발굴할 수 있는 행사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미숙하지만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가면서 청년들은 비로소 사회의 일원으로서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간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