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주도하는 5·18 항쟁기념관 조성”
“시민이 주도하는 5·18 항쟁기념관 조성”
  • 오윤미 기자
  • 승인 2008.05.09 2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일 (구) 전남도청, 시민대토론회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5·18 항쟁기념관 조성을 위한 시민토론회가 지난 8일 (구)전남도청에서 뜨거운 열기 속에 개최됐다.
5·18 민중항쟁 기본 정신인 ‘시민주도성, 시민자치’ 가 묻어나는 5·18 항쟁기념관을 만들고자 시민여론수렴과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5·18 항쟁기념관 조성을 위한 시민대토론회가 지난 8일 (구)전남도청 민원실에서 열렸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이 발표된 후 야기된 갈등(▲문화전당 건립 장소 선정 ▲역사의 현장 보존과 해체 ▲보존 현장의 재구성) 은 일부 해소되긴 했지만 적절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여전히 진행 중이다. 개관까지 2년 남짓 남은 현 상황에서 ‘추진력’과 현실적 대안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5·18항쟁기념관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라는 주제로 정호기 성공회대 교수와 최호근 고려대 교수가 발제자로 나섰다.

정 교수는 ‘민주화운동 현장의 보존과 역사의 공간화-옛 전남도청과 5·18광장의 재구성’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당시 옛 전남도청과 그 일대는 5·18의 핵심인 민주광장, 죽음의 항거가 이루어졌던 저항공간이었다. 5·18을 기념하려는 계획이 옛 전남도청을 목표로 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이어 정 교수는 “옛 전남도청과 그 일대를 5·18 발생지로만 평가할 것이 아니라 한국 현대사 흔적과 역사 일부가 담긴 곳이라 평한다면 한국 사회에서 5·18이 갖는 영향력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재구성을 통한 소통의 공간이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정 교수는 “체계성, 완결성, 공식성 등을 두루 갖춘 텍스트를 통해 ‘현재적·미래적 관점에서 5·18을 사유하고, 문화 속에 자연스럽게 융화되는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설명했다.

“제대로 된 기획과 재원이 투입되지 않았던 ‘망월묘역’이 왜 오랫동안 사랑받고 회자되는지 반추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정 교수는 “5·18뿐 아니라 광주·전남 민주화운동에 대한 기억과 시설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충분히 검토한 후 시민 여론 수렴을 통해 역사 공간으로 재탄생해야한다”고 말했다.

최호근 고려대 교수는 “넘치는 기념, 빈곤한 기억”이라는 말로 발제를 시작했다.

최 교수는 “전국 각지에서 각종 기념사업이 야심차게 진행되고 있지만 ‘기념비적’ 규모에 대한 맹목적 추구, 기념 주도권을 둘러싼 민-관·민-민간 갈등, 졸속 시공 등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는 상황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선 무엇보다 기념사업 주체에 관한 진지한 검토가 필요한 때”라고 주장했다.

기념사업 주체에 관한 뚜렷한 합의가 전제될 때 비로소 기념사업 전반을 아우르는 장기적 전략 수립과 세부적 전술 마련도 가능하다는 것.

“기념하고자 하는 사건 성격을 분명히 인식한 후 주체를 정해야 한다”며 “5·18 역시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5·18 기념은 5·18을 자기 정체성 핵심요소로 기억하는 이들이 주체가 돼, 5·18을 살아남은 자의 책임으로 여기는 사람들에게 맡겨질 때 가장 역동적으로 진행된다는 설명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