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지난시절 교육위원이 한일을 모르고 있다'
'우린 지난시절 교육위원이 한일을 모르고 있다'
  • 시민의소리
  • 승인 2002.07.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선 교육현장이 오는 11일 7명의 교육위원 선출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시민들은 '교육위원'의 명칭도 생소하게 여기고 있으며 역할, 권한, 선출방식은 전문한 상태다. 교육위원 선거는 관심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일선 교육현장과 일부 학부모, 교육관료들은 온통 교육위원 선거에 매달리고 있는 것과 대조되는 풍경이다.


그러나 찬찬히 들여다보면 이번 선거는 광주지역 교육현실에서 결코 무시 할 수 없는 교육자치기구를 구성하는 선거다. 교육위원들이 다루는 교육사안만도 광주의 경우 8천억원에 이르는 예산에서부터 각종 시설, 학교운영 등 광주시 교육정책 전반에 이른다.


코흘리게 유치원 아이부터, 특수학교, 고등학생 교육까지 이들이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라 교육정책의 근간이 달라질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선 교육계에서는 '국회의원 10명 보다 잘 뽑은 교육위원이 한 명이 낫다'는 말들이 나돌 정도로 그 중요함을 강조함은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막중한 역할에 비해 그동안 일부 교육위원들이 보인 행태는 매우 실망스러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전교조 소속 교사 1276명중 70% 이상이 교육위원 활동에 불만을 보이는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특히 일부 교육위원들의 자질은 '교육개혁의 전도사'라기 보다는 국민들의 고혈인 세금으로 운영되는 교육사업에 빌붙어 자신들의 배를 채우는 '흡혈귀' '부패온상'으로 전락했다. 아이들의 도시락, 급식, 학교신축공사, 실험 및 학습기자재 등 광범위하게 걸쳐 이권을 챙겨왔다. 또 일선 교사들과 교육공무원들의 인사에 개입 말썽을 빚기도 했다.

감시 '뒷전' 청탁이권 개입 '각축'에 교사들 조차 등돌려
교육현실 왜곡될수록 진정한 학부모·시민대표 더욱 절실


교육행정의 개혁에 대한 소신은 어디를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다. 교육위원들 중 퇴직 교육관료 출신은 직장상사와 부하로, 또는 스승과 제자로 도제식 인간사슬에 묶여 '적당한 수준의 감시'가 만연하고 있다. 많은 학부모들이 획기적인 교육개혁을 요구하는 것과 달리 이들의 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은 성과가 없다.


또 지역에서 발생되는 주요 쟁점과 이슈는 '모르쇠'로 일관해 일선 교사 및 학생, 학부모들로부터 지탄을 받아왔다.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우리는 지난 시절 교육위원이 한일을 알고 있다'며 무능력과 불신의 시각이 팽배 해 있다.


그러나 일부 교육위원들의 행태 때문에 교육자치가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자각과 참여의 목소리도 들린다. 지방교육자치의 본래의 사명을 저버린 교육위원들을 일선교사들과 학부모들이 나서서 추방하고 새인물로 교체하자는 것이다. 전교조와 참교육 학무모회는 지역별로 직접 후보를 내기도 했다.


학교운영위원 구성부터 적극적인 참가를 해왔던 이들 단체들은 수십년 동안 관행에 길들어진 교육풍토에서 얼마나 선전할지 주목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특히 광주지역에서는 '100만원 돈 봉투 살포설', '음식물 제공' 등 불법선거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52년 4월 이후 유명무실하다가 91년 부활해 올해로 12년째를 맞는 교육자치를 광주지역에서 한 단계라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이들을 선출할 3057명의 선거인단과 전시민적인 관심에 달려있다.


지연, 학연, 금품에 얽매인 선거는 다시 한번 광주의 교육을 나락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교육행정을 소신대로 비판하고 감시 할 교육위원을 잘 골라보자. 비록 선출제도 문제 때문에 투표에 참여하지 못하는 많은 학부모들도 '심각한 학교교육의 문제를 사회전체적 차원에서 심사숙고하는 기회'로 알고 관심을 보여야 할 때다. 최소한 비리 연루자들은 교육계에서 추방해야 아이들에게 부끄럽지 않는 어른들이지 않겠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