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도청별관 또다시 ‘파열음’
구 도청별관 또다시 ‘파열음’
  • 정영대 기자
  • 승인 2010.01.15 20:52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존방식·규모 놓고 대책위-추진단 갈등
“오월의 문 보존요구…전문가 결정할 일”

새해벽두부터 구 도청별관문제가 지역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이하 추진단)과 5·18사적지 원형보존을 위한 시도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부분보존 방식을 둘러싸고 적지 않은 견해차를 드러내고 있어서다.

추진단은 지난 14일 ‘2010년 주요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부분보존 합의안 존중’이라는 입장을 거듭 밝혔지만 결과적으로 논란만 키운 셈이 됐다.

▲ 이병훈 추진단장이 서두에 “금년은 별관에서 해방되는 해가 돼야 한다”고 주문했지만 보존규모와 방안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언급하지 않아 대책위의 의구심을 증폭시켰다. <사진=광주인 제공>

이병훈 추진단장이 서두에 “금년은 별관에서 해방되는 해가 돼야 한다”고 주문했지만 보존규모와 방안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언급하지 않아 대책위의 의구심을 증폭시켰다.

이 단장은 “도청별관의 구조안전진단 결과를 토대로 설계자문회의를 거쳤고 6월 중 보존방안을 내놓을 것”이라며 “보존방식과 규모는 전문가 몫인 만큼 여기서 예측도 답변도 할 수 없다”고 버텼다.

하지만 이 단장은  “설계 자문위원 대부분이 철거를 주장했지만 추진단은 지난해 합의정신과 지역정서를 감안해 구조보강 방법을 찾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5·18 상징성’과 ‘전당 전체 컨셉과의 조화’라는 설계 대원칙만 제시했다. 그래도 기자들의 질문이 계속되자  “너무 예민하게 ‘콩이야 팥이야’ 하지 말라”며 “언론도 더 이상 관심을 갖지 말고 추진단에게 맡겨 달라”는 발언까지 나아갔다.

대책위가 제시한 ‘오월의 문’ 보존방식에 대해서도 “그들의 의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구조안전진단 결과 도청별관이 당초 생각한 것보다 더 심각해 ‘대수술’은 무리라는 용역업체의 의견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이 단장은 “구조안전진단 결과 게이트는 안 된다는 결론이 나왔고 설계자문회의도 부정적이다”며 “구조안전 진단 결과의 신뢰성을 말하는데 정부가 시킨다고 그렇게 말하는 시대는 지났다”고 말했다.

부분보존이 안되면 원형보존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도 “가능성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렇게 되면 전당사업을 전폭 수정해야 하고 합의정신에도 어긋난다는 것이다.

이 단장은 “전당이 문화와 경제적인 공간인데 정치적 잣대를 들이대면 사업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각자의 의견이 있겠지만 전문가와 행정의 몫이 따로 있다”고 밝혔다.

이 단장은 “별관 보존을 위해 별도의 설계자를 선정하지 않고 우규승 설계자와 설계 자문위원과 교감하겠다”며 “정량화 지침에 대해서 말할 수는 없지만 정부가 보존 흉내만 내고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 추진단은 지난 14일 ‘2010년 주요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부분보존 합의안 존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광주인 제공>

이에 대해 유봉식 대책위 관계자는 “구조안전진단 결과에 대한 의구심과 신뢰성을 불식시킬 만큼 진단결과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끝냈는지 의문”이라며 “추진단장이 나서 지역언론에 관심을 갖지 말라고 하는 등 불신과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우규승 설계자와 설계자문회의가 아직도 ‘원 설계안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

유씨는 “10인 대책위원회가 사실상 5월의 문으로 보존하는 것으로 결정이 됐다고 밝히고 있다”며 “그런데도 철거 입장에 서 있는 우규승씨에게 설계를 맡기면 애초부터 오월의 문으로 보존하는 방안은 불가능한 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유씨는 이어 “추진단이 합의정신을 말하고 있지만 도청별관을 상징과 껍데기 수준에서 보존하는 것 아니냐”며 “추진단이 지역시민사회와 적극 소통하고 설계 과정에 대책위가 추천하는 전문가를 참여시켜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추진단은 지난 7일 ‘(구)전남도청 별관 정밀안전진단 및 지반조사결과보고’ 공개설명회를 개최해 구 도청별관에 대해 ‘시한부 사망선고’를 내렸다. 보수·보강 등 대 수술에 대해서도 ‘불능’ 판정을 했다. 구 도청별관에 대한 사실상 해체주문이었다.

그동안 도청별관 보존을 주장해왔던 시민사회단체는 즉각 용역결과에 의문을 제기했고 문광부는 부분존치 합의이행을 강조하며 파문의 조기진화에 나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변항룡 2010-01-19 13:17:39
에폭시와 같은 기존의 접착방법으로 보강하면 현재 괜찮은 건물도 더 나빠진다.
하지만 제대로 보강하면 충분히 안전한 건물로 보존될 수 있다.
문제가 되는 기둥, 보, 슬래브 는 물론 기초까지도 안전한 부재로 부분 치환할 수 있다.
현재의 위치에서 이동 할 수도 있고, 수직 인상, 인하 및 회전도 가능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활용되어지고 있다.

. 2010-01-15 22:50:05
옛 전남도청으로 씁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