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유치에 매달리던 각 지자체, 왜 포기했나
F1유치에 매달리던 각 지자체, 왜 포기했나
  • 김경대 기자
  • 승인 2006.12.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용과대에 수익도 낮아
전남도 관계자 말에 따르면, F1유치를 위해 뛰었던 지자체는 전남만이 아니다. 전북 군산과 경남 진해는 F1개최권을 가진 영국 FOM과 이미 깊숙히 협상을 진행했었고 그 뒤를 이어 강원도, 충청북도, 경기도, 인천, 부산 등이 전남과 함께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지역 발전의 돌파구를 F1에서 찾아보기 위해서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국내 지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러시아, 그리스 등 세계 7개국과의 유치경쟁에서 따낸 값진 산물”이라며 전남도 유치성공을 치켜세웠다.

이미 알려졌다시피 전북 군산은 민선2기 시절 (주)세풍이 의욕적으로 추진하다 형질변경에 따른 토지의 시세차익으로 특혜의혹이 제기되면서 외환위기와 맞물려 4년 만에 계획이 무산되고 만다.

경남지역의 경우 김혁규 도지사 재임시절 F1유치 공을 들이기 시작해 김태호 도지사가 바통을 이어받았으나 지난해 5월 공식적으로 유치전에서 손을 뗐다. 경남도 관계자는 “진해 신항만 인근에 부지를 확보하고 유치계획을 세웠으나 2,000억원의 사업비에 1,400억원의 지반개량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면서 사업타당성이 낮다고 판단해 포기하게 됐다”고 경위를 설명했다. 정부에 사업비 2,000억원을 요구했다가 거절당하자 재원확보가 어려워지면서 입장을 바꾼 것.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간 F3대회를 열어오던 경남 창원도 재계약을 포기했다. 경남도는 창원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제 인지도 제고를 위해 연장 개최 방침을 고수해왔으나 소음문제와 낮은 수익에 주민들과 시의회의 반대에 부딪혀 끝내 뜻을 이루지 못했다.

용인, 여주, 안산 등 국제대회 개최가 가능한 경기장을 갖췄거나 갖출 예정인 경기도는 F1 대회가 전남으로 넘어가자 가장 아쉬워했다는 후문.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자동차경주 매니아가 가장 많이 포진해 있는 수도권을 배후지로 둔다면 전남, 경남보다 사정이 나았지 않았겠나 하는 여론이 있었다”고 전했다. 국제규격인 태백준용서킷을 갖춘 강원도도 사정은 마찬가지.

전문가들은 F1대회에 필요한 경기장 건설비용이 적지 않고 또 그에 따른 부대 인프라가 필요한 실정이라 ‘특별법’과 같은 정부의 도움 없이는 F1과 같은 큰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는게 쉽지 않은 일이라고 진단한다. 또 전남도가 F1대회 외에 중국 상해, 일본 스즈카로 몰리는 관광객을 끌어들일 유인책을 어떻게 마련할 지도 관건이라는 지적.

지자체마다 F1대회를 유치하자니 덩치가 너무 크고 포기하자니 아쉬운 딜레마 속에서 전남도의 F1대회 유치는 어쩌면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 그런 맥락에서 유치의 ‘쓴 맛’을 봤던 이전 지자체들의 전철을 곱씹어보라는 충고는 전남도가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