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희망의 광주·전남-지역권력을 바꾸자 <2> 경제권력- 지역혁신 '암초'
2004 희망의 광주·전남-지역권력을 바꾸자 <2> 경제권력- 지역혁신 '암초'
  • 시민의소리
  • 승인 2004.01.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년째 광통신 부품제조업에 매달리면서 최근 3년 동안 120억원을 투자, 105명을 고용하고 지난해 97원의 매출을 올린 한 40대 사장에게 지역 건설업자가 던진 비아냥에 가까운 한마디. '120억원으로 여관 3개를 지어 편하게 살지 왜 머리 아프게 그러느냐.'

이 보다 더 광주·전남지역경제계를 대표해온 토호자본들의 천민경제철학을 그대로 보여준 사례가 있을 까 싶다.

이들 토호자본들은 지난 60대 이후부터 전통적으로 관급공사 위주의 건설자본을 바탕으로 부와 자본을 축적하면서도 지역경제를 거시적인 안목에서 부흥시킬 제조업와 첨단산업분야 등 생산제조체계에 대한 투자는 한푼도 던진 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에게 이른바 '첨단산업'은 '머리 아픈 산업' 제조업은 '노사관계로 복잡한 경영' 일 뿐, 고용안정과 지속적인 이윤 창출로 인한 소득재분배를 통한 지역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라는 경제 마인드를 찾기가 힘들다. 또 제조업체 경영자는 '미친 놈'으로 비칠 뿐이다.

이처럼 광주경제계는 천민 토착자본들이 주류를 형성하고 이들에 의해 민간진영 경제분야 의사결정 구조가 맡겨져 있는 바람에 산업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지역경제계 발전에 '암초' 또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높다.

특히 이들 경제기득권세력 즉 경제권력들은 발빠른 산업혁신에는 둔감증을 보인 반면 지역정치권력 교체기에는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정치권력 재편기마다 자신들의 '밥그릇 지키기'와 심부름꾼 파견을 위해 '보험성 총알'를 보급 해왔다.

이들의 자본축적과정은 지난 60년대 이후 80년대까지 건설 물량이 관급공사 위주로 이뤄질 때는 권력과 '검은 유착'을 통해 조직폭력배를 앞세워 혈세 나눠먹기에 앞장서며 돈과 권력을 앞세워 '천민자본의 힘'을 밤낮으로 과시 해왔다.

또 80년대 후반 이후 일부 지역경제 기득권 세력은 언론사를 소유하면서 펜을 앞세워 모기기업을 보호하고 언론인들을 방패막이로 이용하기까지도 했다.

기득권 세력 악순환 보호역할 '선 순환' 필요
일부 경제계 인사 산업혁신 대상으로 '지목'
첨단산업 및 제조업으로 전환에 제 역할 없어


이처럼 지역권력을 등에 업고 이에 빌붙어 부를 축적하고 이후 이들의 권력까지 주물럭거렸던 이들 지역자본들은 제조업 투자에는 인색한 채 부를 2세대까지 대물림하면서 '부의 세습'을 통해 지역경제권력을 좌지우지 해오고 있다.

물론 이들 건설자본은 내부평가처럼 '산업지반이 낙후된 이 지역에서 배고픔을 해결 해 줄 수 있은 유일한 주력업종이었다'는 긍정적인 역할도 있다. 그러나 관을 통해서 축적한 부는 더 이상 지역경제의 공공자금으로 선 순환되지 않은 채 개인의 배를 채우는데 그쳐야 했다.

토착 자본가로 대표되어지는 지역경제 기득권세력은 이러한 자본의 폐쇄성과 경영가들의 경제철학의 빈곤 등으로 지역기득권 세력을 공고화하는데 앞장 섰으며 결국 서민들의 삶만 갈수록 피폐해지게 했다.

자본은 더 이상 개인의 부가 아니다. 공공성을 생명으로 건전하게 재분배 될 수 있도록 생산 활동으로 순환 시켜야 한다. 그러지 못한 결과 광주는 지역차별이라는 정치적 소외와 함께 경제적인 후진성 천민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지난 50년대 이후 두 세대를 걸쳐 빈곤지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들어 광주 전남은 산업혁신을 통해 새롭게 태어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천민자본세력이 경제계의 주류로 경제권력을 형성하고 있는 한 혁신속도는 더딜 수밖에 없으며 이들에 기생한 지역권력이 있는 한 지역혁신은 물 건너 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거시적인 안목에서 지역 자본의 선순환 투자를 통한 천민성 극복과 일부 검은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정치권력 형성 등이 새롭게 구축 될 때 지역권력 바꾸기는 성공 할 것이다.

이제 토호자본가들과 일부 경제권력가들도 산업혁신이라는 시대적 사명에 맞춰 자본의 쓰임새와 지역경제 기득권 인사들의 의식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이로부터 도태한 자본은 여관과 건물 몇 개에 안주하며 지역경제 혁신의 공공의 적으로 낙인찍힐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오늘도 지역내 제조업체들과 지방자치단체들은 한푼이라도 던질 투자자를 애타게 찾아 나서고 있다. 지역토호자본들과 경제권력들의 역할이 주시되는 대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