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칼론]대통령 후보와 문화의 사이
[문화칼론]대통령 후보와 문화의 사이
  • 김하림
  • 승인 2002.11.2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야흐로 대통령선거의 계절이다. 매스컴마다 후보의 선거활동은 물론 여론조사의 추이 등을 보도하느라 정신이 없다. '1강 2중'이라느니, '후보단일화'라느니 판세의 변화와 표심을 읽기에 바쁘다.

최근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문화개혁을위한시민연대(문화연대)·스크린쿼터문화연대 등 17개 문화예술단체는 '우리는 문화대통령을 원한다'는 주장을 공표했다. 문화정책 16대 핵심 공약 및 107대 주요 과제도 선정해 발표했다. 이러한 문화 관련 공약들은 산업논리를 벗어난 문화정책의 수립,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맞선 문화주권의 확보, 문화정책을 국정 지도원리로 삼는‘문화대통령’실현 등을 위해 제안한 것이다.

핵심 공약은 '문화예산 3% 증액, 문화부총리제 및 대통령 직속 문화예술자문위원회 도입, 문화분야 자유무역화 반대 및 WTO 양허 요청안 철회, 영상물 등급분류제 개혁 등 표현의 자유 확대, 세종로 차 없는 문화광장 만들기, 문화예술계 종사자 기본생존권 보장 및 사회보장제도 확대' 등이다.

문화민족을 자칭하고 있는 우리로서 아직도 이러한 낮은 수준의 문제들을 정책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점이 안타깝기 그지없다. '예산의 증가(이것도 쥐꼬리보다 적게), 기본생존권 보장'이라는 공약을 제시하고 있는 면은 서글픔을 넘어서 처절하기조차 하다.(몇 억, 몇 십억이 오가는 대중연예인들이 우리 문화를 대표하고 있을까?)

우리의 문화적 상황이나 수준이 그렇다는 점에 절망하지만, 한편으로 중앙문화에 비해 지역문화는 더 열악하다.(중앙에서 울부짖고 있는 문화예술인들은 지역에서 울부짖지도 못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까?) 다양성과 차이성을 생명으로 삼는 것이 문화라는 점에서 '지역문화'의 활성화와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이번에 제시된 공약에서는(아직 전체를 깊이 있게 살펴보지는 않았지만) 미흡한 듯 하여 더욱 아쉽기만 하다. 지역문화의 활력이 없이 중앙이나 국가의 문화가 꽃피우기란 어렵다는 점을 모두가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문제를 후보들에게 돌려보자. 현 시점에서 어느 후보도 뛰어난 '문화마인드'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자신과 부모의 고향, 성장지와 근거지를 들먹이며 '지역연고'는 강조하지만, '지역문화'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없는 상황이다. 그러니 지역문화는 이중의 소외를 받고 있는 셈이다.

후보들마다 '잘 먹고 잘 살게' 만들겠다고 난리다. 그러나 '먹고 사는' 것은 결국 '삶의 질'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잘 먹고 잘 살자'고 달려온 결과가 지난 IMF라면 우리는 결국 헛된 삶을 살아온 것이 아닌가? '삶의 여유와 질적 향상'은 문화에 근거하지 않고서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 아닌가?

스승 공자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자공이 물었다. 공자는 "식량을 풍족히 하고 군사를 풍족하게 하면 백성들이 믿을 것이다."고 대답했다. "어쩔 수 없이 버려야 한다면 이 세 가지 중에서 무엇을 먼저 버려야 할까요?" 하고 다시 자공이 묻자, 공자는 "군사를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군사 없이 백성들이 발을 뻗고 잘 수 있으며, 창고 가득한 식량은 누가 지킬 것인지 궁금해진 자공 다시 물었다.

"또 버려야 한다면 두 가지 중에 무엇을 먼저 버려야 할까요?" "식량을 버려야 한다. 예로부터 사람은 누구에게나 다 죽음이 있지만 백성은 믿음이 없으면 설 수 없는 것이니라."고 공자는 대답했다. 군사나 양식으로 나라가 유지되고 통치되는 것이 아니라 백성들의 믿음을 통해서만 존립할 수 있다는 '공자님 말씀'은 그저 봉건시대의 일에 지나지 않을까?

공자가 말한 '믿음'의 구체적 내용이 무엇인지는 잘 모른다. 말 그대로 '(상하의)신뢰' 일 것이다. 그러나 이 '무형'의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는 공자의 혜안과 갈파는 시대를 넘어 오늘에도 울려 퍼진다. '무형'에서 유형의 가치를 무한정으로 생산해내는 것이 '문화'라는 점을 떠올리면서.

/김하림[광주전남문화연대 대표, 조선대 중국어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