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한말 의병, 기록발굴과 연구활동 확대해야
전라도 한말 의병, 기록발굴과 연구활동 확대해야
  • 문틈 시인
  • 승인 2023.11.04 13: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봉수 역사교사, “독립유공자 서훈받지 못한 사례 많아 하루빨리 보완 필요해" 주장

“한국사의 획을 바꾼 전라도 의병이 전국의 60%를 차지한데도 이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독립유공자나 서훈 등을 받지 못하고 있어 후속연구가 확대되어야 합니다.”

신봉수 광주예술고등학교 역사교사는 최근 광주 서구문화원 초청 문화유산 아카데미 특강에서 ‘불굴의 한말 호남 의병’를 주제로 호남지역의 대표적인 의병장들의 활동을 소개하고 아직까지 서훈받지 못한 경우가 많다며 하루빨리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 서구문화원이 마련한 문화유산아카데미 강좌에서 신봉수 역사교사는 "전라도 지역 한말의병 활동 전국 대비 60%를 차지한데도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자 못한 사례가 많다"면서 "이들의 기록발굴과 연구 등에 대한 노력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 서구문화원이 마련한 문화유산아카데미 강좌에서 신봉수 역사교사는 "전라도 지역 한말의병 수가 전국 대비 60%를 차지한데도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자 못한 사례가 많다"면서 "이들의 기록발굴과 연구 등에 대한 노력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교사는 1909년 전라도 의병들은 일본 군경과 교전 횟수는 전남은 31.5%, 전북은 15.7% 등 전라도가 47.2%였으며, 교전 의병 수는 전국 대비 전남은 45.5%, 전북은 14.5%로 전라도가 60%를 차지하는 등 그 역할이 막대했다는 것이다.

호남의병 중에는 많은 의병장이 등장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인물을 꼽자면 호남 의병의 핵심인물이었던 기삼연, 일제가 ‘거괴’로 지목한 김태원과 김율 형제, 전남 제일의 의병장 심남일, 머슴 출신 항일의병장 안규홍 등이 있다.

백암 박은식은 “의병은 독립운동의 도화선이므로, 만약 이들을 성패로 논한다면 그것은 지식이 얕은 것”이라 말했다고 덧붙이고. 비록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희생이 너무 크더라도 항일의병의 봉기는 독립운동으로 확산되고, 오늘날에는 민주화 운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출발점이었고 덧붙였다.

이러한 역사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가 부족한 자료와 호남 의병에 관한 연구 부족으로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유공자 서훈 작업을 하는 활동 또한 턱없이 미약하다고 지적했다.

신 교사는 이런 처지로 의병장을 기리는 기념관이나, 기념물에 대한 관리도 허술하여 오히려 호남 의병들의 명예에 먹칠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했다.

신 교사는 “더욱이 죽봉대로, 대천로, 서암대로, 설죽로, 금재로 등 우리에게 익숙한 이 도로명이 전부 호남 의병장들의 호에서 따온 이름이다”라고 설명하면서 “우리에게 단순 도로명이었던 이 이름들을 특별한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해야 할 과제로 지역출신 의병 연구를 통해 대중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의병들을 발굴하고, 이들의 공을 인정받도록 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들을 기리는 기념물에 대한 관리와 잘못된 내용을 바로잡는 작업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