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지사 ‘빈 수레 행정’에 전남 미래 먹거리 산업 ‘실종’
김영록 지사 ‘빈 수레 행정’에 전남 미래 먹거리 산업 ‘실종’
  • 박병모 기자
  • 승인 2023.07.25 09:05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반도체 및 소·부·장 특화단지 등 12곳서 '탈락'
호남 중 유일...광주와 전북 새만금 선정과는 대조적
3년 전 방사광 가속기에 이어 잇단 고배
621조 예산 투입되는 국책 사업 참에 제외 ‘수모’
​​​​​​​金, 디테일한 전략과 유연성, 선제적 대응 미흡 지적도

[시민의소리=박병모 대기자] 전남도가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는 정부의 국책사업 선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호남에서 유일하게 전남도만 빠졌으니, 특히 김영록 지사로서는 할 말이 없게 됐다.
빈 수레만 요란한 채 실속없는 행정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산업통산부가 발표한
산업통산자원부가 발표한 지역별 반도체 및 소부장 특화단지 12곳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0일 발표한 첨단전략산업(반도체) 특화단지 7곳 및 소재·부품·장비 산업 특화단지’ 5곳 등 12곳 중에서 전남도는 눈을 씹고 봐도 찾아볼 수가 없었다.
경기 용인과 평택을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거점으로 육성하고, 전북 새만큼이 이차전지 핵심광물 기지로, 광주가 소·부·장 특화단지로 선정됐음에도 말이다.

따라서 전남도는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는 대형프로젝트에서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함에 따라 621조원이라는 재정적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됐다.
첨단 특화단지 7곳(겅기 용인·평택, 충남 천안· 아산, 충북 청주, 전북 새만큼, 경북 구미, 경북 포항,울산)에 총 614조 원을, 소·부·장 특화단지 5곳(충북 오송,광주,경기 안성,대구,부산)에는 약 6조7000억 원의 기업 신규 투자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전남도의 탈락 원인이 선도기업은 물론 신규 투자 계획, 산업 생태계 발전 가능성이 미흡했다는 게 산자부의 진단이다.

이런 수모를 지켜보면서 3년 전인 2020년 방사광 가속기를 유치하겠다고 나섰다가 실패한 사례가 자연스레 떠오른다.

지난 2020년 4월 국회 본관 앞에서 방사광 가속기 나주 유치를 위한 ‘230만명 서명 돌파’ 경과보고회 후 ,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는 범도민 서명운동 추진위원회 관계자들/전남도 

광주·전남 민주당 의원 18명은 물론 대학생들까지 동원해 230만 명에 이르는 범도민 서명운동까지 벌이며 나주 유치에 나섰으나 결국 충북 오송에 빼앗기고 말았다. 
당시 국무총리에는 전북 출신의 정세균, 민주당 대표에는 당시 지지율 1위를 달리는 이낙연이 자리하고 있었음에도 아무런 보탬이 되지 않았다.

탈락 당시 뜻있는 도민들은 이렇게 탄식했다.
앞으로 전남, 강원 같은 낙후지역이나 인프라가 형성되지 않은 곳은 앞으로 국가프로젝트 사업을 하나도 딸 수 없을 것이라고...

더욱 어처구니 없는 것은 탈락 사유가 준비 부족으로 나타난 대목이다.

방사광 가속기 이어 반도체특화단지 선정에서도 디테일한 정책과 전략을 갖추지 못해 잇단 고배를 마신 김영록 지사의 대응 방식도 문제점으로 부각된다.
김 지사가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제외와 관련, 강한 유감을 표명하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버스 떠난 뒤에 손 흔드는 격’으로 정부에 추가 지정을 촉구했다.

노력을 했지만 역부족이었다며 도정을 책임지고 있는, 소위 ‘도백’으로서 역할과 임무를 다하지 못해 죄송하다는 얘기를 했어야 했음에도 이를 언급하지 않았다.

실제로 김 지사는 지난 3월 27일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열린 ‘호남권 반도체 특화단지 육성을 위한 입법지원 토론회’에 참석키로 했다가 불참했다.
대신 정무부지사가 참석했으나 김 지사가 왜 참석하지 않았는지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아 참석자들을 어리둥절하게 했다.
김 지사가 반도체특화단지 노래를 부르먼서 참석하지 않는 것은 그만큼 유치를 위한 절박감이 없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만만치 않았다.

그리고는 정부의 발표를 일주일 앞둔 지난 14일에야 비로서 김 지사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함께 대통령실 정무수석 비서관을 만나 광주·전남 유치 당위성을 설명했다 하니 방문 효과가 있을리 만무하다. 

유치 과정에서 양 시·도지사의 행보도 주목을 받고 있다. 선제적 대응과 유연성 측면에서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경영자총연합회가 성명을 낸 것처럼 국내에서 유일하게 완성차 공장 2곳을 보유한데다 자동차 산업이 지역 제조업의 43.1%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내세워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로 선정해 줄 것을 요청했고 결국 성과로 이어졌다.

반면 김 지사는 현재 주가가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고 있는 포스코그룹의 리튬밧데리 공장을 앵커기업으로 내세워 승부를 걸었어야 했음에도 그러하질 못했다.
전남 광양 율촌산업단지에 연 4만3000t 규모의 수산화리튬공장을 올해 준공했고, 앞서 지난해 11월에는 포스코퓨처엠이 세계 최대인 연 9만t 규모의 광양 양극재공장을 준공하고 가동에 들어간 점을 강점으로 내세워야 했다는 얘기다.

이렇게 앵커기업이 있음에도 무안과 고흥에 소규모 단지를 유치하겠다고 나선 것도 이해가 가질 않는다.

앞으로 전남도는 정부의 대형프로젝트 사업에 참여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손가락만 빠는 처지에 몰리게 됐다.
미래 먹거리 산업을 제대로 유치하지 못한다면 그렇지 않아도 인구소멸 지역과 낙후지역이라는 불명예를 더욱 안고 살아가야 할 운명이 아닐런가 싶다.


최신 HOT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홍길동 2023-07-26 21:29:55
    역시 전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