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매각 난항, ‘광주은행’ 어떻게 되나
우리금융 매각 난항, ‘광주은행’ 어떻게 되나
  • 윤영숙 기자
  • 승인 2011.06.27 2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금융 29일 인수의향서 무산될 듯
향토금융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여론
▲ 광주은행 전경.
금융권 최대의 이슈가 됐던 우리금융 매각이 올해 안에 끝날지 차기 정권으로 넘겨질 지 불투명해졌다.
타 금융지주사의 입찰 참여를 위한 지주사법 시행령 개정이 부결되면서 오는 29일 인수의향서(LOI) 접수를 앞두고 유효경쟁 성립 여부가 이루어질 지 지역경제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23일 지역 금융권과 경제계에 따르면 우리금융 매각이 정부 구상대로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분리매각으로의 전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동안 지역경제계가 지속적으로 주장했던 일괄매각이 아닌 분리매각을 골자로 하는 ‘뉴 빅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우리금융 자회사인 광주은행이 경남은행과 함께 분리해 팔리게 된다면 조기 민영화 완수와 지역 환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를 인수하려는 측에서는 더욱 관심이 높은 실정이다.
금융권 일부에서는 8월 이후 새로 구성되는 공적자금관리위를 통해 우리금융 매각 방안을 수정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을 내놓았다. 당국도 매각 성사 여부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분리매각 방식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럴 경우 광주은행은 광주·전남 4개 지역상공회의소의 ‘출자자협의회’에 매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제로 출자자협은 LOI 결과를 지켜본 후 인수를 위한 행보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물론 그동안 관심을 보여온 중국 공상은행 등 외국계 자본과 전북은행도 인수 후보로 거론될 수 있다.
광주상의 홍호표 부장은 “우리금융 분리매각에 대한 금융당국의 생각과 달리 LOI 자체가 의미 없는 일이 되리라고 예상하고 있었다”면서 “문제는 그 이후로 정·관계 등과 연계해 광주은행 인수를 위해 우리 지역에서 여론을 조성하는 데 모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홍 부장은 “순이익 1천억원을 내는 지역금융을 돌려주는 것은 당연한 이치로 이제는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또 금융자치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분리매각해야 한다”고 당위성을 폈다.
경실련 등 시민단체는 물론 해당 은행인 광주은행 노조도 분리매각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다.
노조 관계자는 “지주사법 시행령 개정안 철회는 너무도 마땅한 것”이라면서 “분리매각을 통한 민영화 관철을 위해서 더 강력하게 목소리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한 편에서는 분리매각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내년 총선과 대선이 있는 만큼 금융당국이 무리해서 부담을 감수하면서 우리금융 매각을 추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민감한 사안’으로 특혜 논란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 정권에서는 우리금융 민영화가 어렵고, 차기 정권에서나 재차 논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광주은행의 민영화도 이에 따를 수밖에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