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인권평화센터의 뿌리는?
민주인권평화센터의 뿌리는?
  • 시민의소리
  • 승인 2003.06.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96년 광주시민연대는 동아시아지역 21개국 국제청소년 교류캠프를 연다. 이들은 동아시아지역의 국가들이 절대왕정을 거쳐, 외세에 시달리고 군사정권의 핍박과 미국의 영향을 받는 등 비슷한 역사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이 가운데 한국은 절대빈곤과 군사정권을 동시에 물리침으로써 동아시아 여러 국가들의 희망이 되어 있었고, 이러한 희망을 동아시아 국가의 청소년들과 나눠야 한다는 취지였다. 물론 '희망'의 중심에는 광주5.18민중항쟁이 있었다. 동아시아 국제청소년교류캠프는 이를 구체화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이었다.

당시 광주시민연대를 이끌었던 윤장현씨(현 비전21 공동대표)는 "동아시아 지역을 돌면서 광주의 5.18이 동아시아지역 민주화의 '희망'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이 과정에서 5.18의 세계화와 함께 광주의 역사성을 끌어안으면서 아시아를 커버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시의 논의는 '논의와 필요성제기'수준정도였다.

이를 사업계획으로 구체화시킨 것은 전남대 5.18연구소였다. 전남대 5.18연구소는 지난 2001년 '5.18기념 동아시아민주인권센터'라는 사업계획을 완성해낸다. 시민연대나 5.18재단쪽에서 추진해온 동남아시아 인권피해자 지원 및 교류사업의 성과를 받아, 5.18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동남아 민주화운동 희생자들에 대한 지원 및 교육, 교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당시 프로그램 진행과 관련 시설을 위한 총 사업비는 70억원이었다. 또한 건물규모는 지상 5층짜리로 계획됐다.

5.18연구소와 5.18재단측은 당시 이 계획안을 들고 한완상 교육부총리와 상의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진 못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96년 광주시민연대 '세계화 역사화 측면'최초 제기
2001년 전남대 5.18연구소가 사업 구체화
70억→800억, 5층→12층 뻥튀기

이후 이 사업계획안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수정을 거쳤고, 예산규모는 70억원에서 300억원, 600억원, 그리고 최종 800억원 규모까지 갔다. 건물 높이도 당초 5층에서 12층까지 솟아올랐다.

초기부터 이 사업계획에 참가했던 한 관계자는 "예산이 튀어오른 것은 그때그때 실현 가능성이 보였기 때문인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전남대 동창회도 로비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전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대통령 선거를 앞둔 지난해 11월, 전남대총동창회 임원들이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대통령후보를 동창회관에서 '은밀히' 만났던 사례라는 것. 당시 안종일 회장 등 50여명의 이사 및 임원진들은 이 후보를 만나, 당선될 경우 들어달라며 두 가지 사항을 요구하게 된다.

하나는 전남대 출신에 대한 중용이었고, 또 다른 하나가 전남대 교정에 5.18기념회관을 지어달라는 것이었다. 당시 언급됐던 5.18기념회관이 바로 민주인권센터임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윤장현 대표는 최근 전남대가 청와대측에 제출했던 민주인권센터 건립사업계획과 관련해 우려를 표했다.

그는 "현재 광주시에서 추진중인 '민주의 종'이나 '인권타워' 등 민주인권과 관련해 하드웨어중심의 접근방식은 문제가 있다"면서 "민주인권센터 역시 기존의 유물전시나 관람시설 등이 아닌, 동아시아지역 학자나 운동가들을 초청해 우리가 가졌던 경험을 나눠주고, 이곳에 와서 실질적인 연구도 하고 교육도 받고, 고문 피해자들에 대한 치료 등 각종 지원으로 실질적 도움이 되게 사업으로 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