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 이순신과 거북선[66회]-노량해전 (2)
충무공 이순신과 거북선[66회]-노량해전 (2)
  • 김세곤 역사 칼럼니스트
  • 승인 2024.01.10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598년 11월 19일 새벽에 조명연합수군이 화공전을 격렬하게 펼치자 마침내 왜군은 견디지 못하고 도망치기 시작하였다.

사진 1 노량해전 요약문 사진 2 이순신 최후의 말
노량해전 요약문

왜군은 어둠 속에서 관음포 내항을 바다로 나가는 외양(外洋)으로 오인하고 어둠속에서 필사적으로 탈출했다.

이순신은 조선 수군 선두에서 도망가는 왜선을 쫓았다. 해남군수 유형, 당진포 만호 조호열, 진도군수 선의경, 사량만호 김성옥의 함선들이 뒤를 따랐다.

그런데 날이 서서히 밝아오자 왜군은 넓은 바다가 아닌 관음포 안으로 들어간 것을 알았다.
관음포는 포구 입구에서 안쪽까지 거리가 멀어서 잘못 보면 수평선과 지평선을 혼동하기 쉬운데, 어두운 밤에 치열한 접전 속에서 왜군이 착각한 것이다.

포구 안에 갇혔다는 사실을 안 왜군은 일부는 배를 버리고 육지로 도망쳤고, 나머지는 조명연합 수군의 포위를 뚫기 위해 사생결단하였다.

이순신은 한 명도 살려 보내지 않겠다고 왜군을 몰아붙이자 전투는 더욱 격렬해졌다. 이순신은 화살과 총알이 빗발치는 격전 속에서 직접 북채를 잡고 독전(督戰)했다.
그런데 갑자기 날아온 적탄이 이순신의 왼쪽 가슴을 관통했다. 치명상이었다.

이순신 최후의 말
이순신 최후의 말

그러면 이순신의 조카 이분(李芬)이 쓴 「이충무공 행록」을 읽어보자.
“11월 19일 새벽에 공(이순신)이 한창 싸움을 독려하고 있었는데, 문득 지나가는 탄환에 맞았다. “싸움이 한창 급하다. 내가 죽었다는 말을 내지마라.(戰方急 愼勿言我死)”. 이 말을 마치자 공은 세상을 떠나시었다.

이 때에 공의 맏아들 아들 회과 조카 완이 활을 잡고 곁에 있다가 울음을 참고 서로 말하기를,
“일이 이 지경에 이르다니, 망극, 망극하구나”

“그렇지만 지금 만일 곡성(哭聲)을 냈다가는 온 군중이 놀라고 적들이 이 틈을 타서 기세를 올릴지도 모른다. 그리고 또 시체를 보전하여 돌아갈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그렇다. 그저 참으면서 싸움이 끝나기를 기다릴 수 밖에 없다”

그리고는 곧 시체를 안고 방안으로 모시니, 오직 공을 모시고 있던 종 김이(金伊)와 회, 완 세 사람만 알았을 뿐이요, 공이 친하게 믿고 지냈던 송희립 등도 알지 못했다.
이들은 그대로 휘두르며 계속 싸움을 독려하였다.

왜적이 도독 진린의 배를 에워싸서 거의 함몰당하게 되자, 여러 장수들은 공의 배에서 독전(督戰)하는 것을 보고 서로 다투어 달려들어 포위 속에서 도독의 배를 구하였다.

전투가 끝난 후에 도독 진린이 급히 배를 저어 가까이 와서, “통제사, 속히 나오시오. 속히 나오시오.”라고 외쳤다. (이순신의 조카) 완이 뱃머리에 서서 울면서 “숙부님께서는 돌아가셨습니다.”라고 말했다.

그 말을 듣고 진린은 세 번이나 쓰러지더니, “나는 공이 손수 나를 구한 것으로 생각했는데 어찌하여 죽었단 말이요?”하고 가슴을 치면서 한참이나 통곡하였다.”(박기봉 편역, 충무공 이순신전서 제4권, 비봉출판사, 2006, p358-359)

노량해전은 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정오 무렵에 조명연합수군의 승리로 끝났다.
일본 수군은 200척이 침몰당했고 100여 척이 나포되었으며, 온전하게 도망친 왜선은 50척에 불과했다. 시마즈 요시히로의 함선은 반파 상태가 되어 창선도를 거쳐 가까스로 도망쳤고, 다치바나 · 소 요시토시· 데라자와 등도 겨우 거제도까지 철수하였으나 암초 또는 얕은 여울에 좌초한 배도 많았다.

한편 순천 왜교성의 고니시는 노량에서 왜군이 몰살당하는 중에 묘도 서쪽 수로를 통과하여 남해도 남쪽으로 우회하여 부산으로 탈출했다.

노량해전에서 낙안군수 방덕룡, 흥양현감 고득장, 가리포 첨사 이영남도 전사하였다. 나중에 이영남은 완도 고금도 충무사에 이순신과 함께 신위가 모셔졌다.

「호남절의록」에는 이설, 정기수, 나치용(나대용의 종제), 오용운, 오극성, 남병, 나득룡, 김몽성, 이충실, 김덕방, 김예의, 김득효, 강극경, 이덕수, 김득룡, 이응춘, 신인수, 김두흥, 이덕경, 김말동, 김백운 등도 전사자로 기록되어 있다. 명나라 부총병 등자룡과 진잠의 부장 도명재 등 명나라 수군도 상당수 전사하였다. 조선 수군 전함은 4척, 명군은 2척이 침몰되었다.

우연하게도 이순신이 순국한 11월 19일에 류성룡이 파직당했다. 안동으로 낙향한 류성룡은 1604년에 「징비록(懲毖錄)」을 썼다.

한편 부산에 집결한 왜군은 차례로 일본으로 철수하여 11월 25일 저녁엔 단 한 사람의 왜군도 부산에 없었다. 이로써 만 6년 7개월 12일간 계속된 임진왜란 7년 전쟁은 종말을 고했다.

                                                                                   <‘임진왜란과 호남사람들’ 저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