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좋은 물 확보 위해 동참 당부

전라남도는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영산강유역환경청에서‘세계 물의 날 기념식’을 갖고 날로 심각해지는 물 부족 문제 해소와 수질오염 방지에 힘쓸 것을 다짐하면서 물의 소중함을 되새겼다.
이날 기념식에는 영산강유역환경청, 전남도, 광주시, 광주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 영․섬유역본부,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한국환경공단 광주전남제주지역본부 등 물 관리 유관기관 담당자 200여 명이 함께했다.
올해 물의 날은 ‘함께 만드는 변화, 새로운 기회의 물결’을 주제로 정했다. 기후 위기에 따른 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물 관리 여건도 변화함에 따라 모든 주체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취지를 담은 것이다.
기념식은 기념사, 축사, 물 관리 유공자 표창과 기념공연 등으로 진행됐으며 기념식 후엔 광주 북구 시민의 숲 영산강변에서 투기, 방치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정화 활동을 펼쳤다.
안상현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기념식에서 “전남․광주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장기 가뭄으로 효율적 물 관리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변화하는 물 관리 여건에 맞춰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좋은 물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물 재이용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세계 물의 날은 수자원 보전과 먹는 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민간 등의 참여와 협조를 증진하기 위해 지난 1992년 유엔총회에서 3월 22일로 정했다. 우리나라는 정부 차원 기념행사를 1995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월22일은 세계물의날이다.
물의날을맞이하여 광주전남의 가뭄과물부족을 호소하는방송이 자주나온다.
그내용은 영산강을살리자와 과거취수상수원을 관리하지않고 퍠쇄한원망성이 나오기도한다?
영산강수계통 이전상수원을 살펴보자.
현재까지 명명된 상수원번호는 동복수원지가 제5상수원지로 되있다.
제3수원지가 산동교부근으로 현재는흔적이없다.
제4수원지와 동복댐건설로서 폐쇄된후 양산동연초제조창 공업용수로 사용되기도했다.
장성군 황룡면의 황룡강취수장.
호남고속도로 요금소지나 장성옛고속도로길좌측에 정수장관리건물이보임.
호남대정문앞 황룡강취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