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명과의 대화(88) ㈜그린시스템 사원 박현률
100명과의 대화(88) ㈜그린시스템 사원 박현률
  • 유현주 수습기자
  • 승인 2016.05.26 03: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취업난으로 연애·결혼·출산 포기 하는 청년 많아
사회적 약자에게 따뜻한 손 내미는 정책 만들어야

더불어 사는 광주, 참여하는 자치도시를 지향하기 위한 시민들의 목소리는 무엇일까? <시민의 소리>는 다양한 분야의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해 100명의 시민에게 릴레이로 시민의 소리를 듣는 기획기사를 마련했다. 광주의 발전과 미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시민들과 각기 다른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눠본다. /편집자 주

   
 
2016년 청년실업자 수가 484000명으로 지난해보다 39000명 늘어난 가운데 청년들 사이에선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3포세대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나머지 청년들은 정든 고향을 등지고 머나먼 도시로 떠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청년으로서 경제적인 어려움, 취업난 등 청년들이 처한 현실적 문제에 대해 고민해왔으며,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청년 박현률 씨를 만나보았다.
 
주로 어떤 일을 하는지
- 에어컨 설치, 설비 그리고 세관 작업 등의 일을 하며 에어컨과 관련된 기술을 배우고 있어요. 공부하기엔 이젠 좀 늦은 나이란 생각이 들어 기술을 배우기로 결심했죠. 기술은 한 번 배우면 나이가 들어도, 건강에 이상이 생기지 않는 한 계속 일할 수 있잖아요. 그래서 요즘은 일을 하면서 기술을 배우는데 집중하고 있어요.
 
최근 청년 실업이 심각하다. 이에 대한 생각은?
- 사실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도 많고 일자리도 많아요. 하지만 좀 더 편한 일을 찾으려고 하다 보니 일자리를 구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흔히들 편한 일이라 생각하는 사무직은 미래가 없어요. 회사에서 소모되고, 해고당하면 끝이죠.
 
하지만 기술직은 처음엔 몸이 힘들지만 한 번 기술을 배우면 60, 70대가 되어도 건강만 따라준다면 계속 일을 할 수 있어요. 또한 기술이 숙련될수록 인정도 받고요. 만약 공부가 적성에 맞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면 기술을 배우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봐요.
 
청년의 입장에서 본 취업난의 원인은 무엇인가.
- 사실 광주지역 중소기업들의 복지가 썩 좋지만은 않아요.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일을 했었는데 가까운 여수만 가도 복지가 꽤 좋은 편이에요. 광주는 기술직이던 공장이던 급여가 매우 짠 편이죠. 사람들이 일자리가 없다보니 열악한 조건이라도 억지로 맞춰가며 일하고 있어요. 아니면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떠나거나 둘 중 하나죠.
 
솔직히 경기도만 가도 기본 시급 보다는 급여를 많이 쳐주는 편이에요. 일이 힘든 만큼 대우도 해주죠. 하지만 광주에서는 이러한 곳을 찾기 힘들어요.
 
특히 특근, 다른 지역에선 특근을 당연히 쳐주는 것이라 생각해요. 솔직히 근로자도 쉬는 날에는 쉬고 또 토요일, 일요일은 특근으로 들어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이것조차 지켜지지 않는 곳도 많아요.
 
광주에 어떤 일자리가 생겼으면 하는가.
- 그나마 광주에 있는 규모가 큰 회사들은 4대보험이나 주휴수당 등 흔히 복지라고 말하는 것들을 잘 챙겨주는 편이에요. 하지만 소규모 회사들은 근로자의 기본 권리인 근로계약서 작성은커녕 고용보험도 제대로 들어주지 않는 곳이 많죠.
 
어쩌면 이러한 것들은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에요. 그런데 이걸 회사에서 들어줬는지 들어주지 않았는지 근로자가 스스로 알아보고, 또 들어주지 않았다면 이를 사측에 말해야 할지, 말아야할지 고민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것 같아요. 당연한 권리를 주장하는 것 뿐인데 주장하기까지 많은 생각이 오가죠.
 
근로자의 기본 권리를 잘 보장해 주는지, 회사 측에서 근로자에게 불합리한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지 지자체 혹은 고용노동부에서 수시로 점검을 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회사는 이고 근로자는 의 관계이기 때문에 근로자가 부당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쉽사리 사측에 이의제기를 할 수가 없잖아요. 그러기 때문에 이러한 의 입장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제도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봐요.
 
만약 광주광역시장이 된다면 어떤 정책을 펼치고 싶은가
- 우선 사회적 약자를 돕는 정책을 펼치고 싶어요. 정말로 복지의 손길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거죠. 사실 주변을 둘러보면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어요.
 
만약 이들이 갑자기 큰 병에 걸리거나, 예상치 못한 사고 등으로 큰 액수의 벌금이나 합의금이 발생하는 등 목돈을 급하게 구해야 할 상황이 생겨요. 이럴 때 이들을 구제해 줄 수 있는 수단이 현재로썬 아무 것도 없다고 생각해요. 결국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은 흔히들 사채라고 부르는 것을 끌어다 쓰게 되고 결국 빚이 빚을 계속 낳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되죠.
 
그리고 요즘엔 미혼모, 미혼부 문제도 지속적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책임이라는 이름하에 이들이 아이를 키우기로 결심하더라도, 금전적인 어려움 때문에 힘들어하곤 하죠.
 
또한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부부들이 늘면서 출산율이 점점 낮아지고 있어요. 전국 8개 특·광역시 중에서도 5위에요. 거의 하위권이죠. 아이를 낳으면 끝나는 게 아니라 기저귀 값이나 분유 값 등 지속적으로 돈이 들어가잖아요.
 
가까운 해남 같은 경우만 해도 복지가 정말 좋다고 들었어요. 저희 아버지의 고향이 해남인데 아버지는 늘 아이를 낳으려면 해남에서 낳아라라고 말씀하시곤 해요. 아이를 낳으면 지원금도 많이 주고 그러거든요. 그래서 해남이 출산율 1위잖아요.
 
광주시는 아이를 낳으면 복지카드 하나랑 매달 30만 원 정도를 준다고 들었어요. 아이를 키우기엔 사실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죠. 지금 아이를 키우고 있진 않아도, 누나가 조카를 키우는 것을 보니 아이를 키우기가 녹록치 않다는 것은 잘 알고 있어요. 그래서 더욱 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요.
 
시에서 이런 저런 이유로 돈 쓰는 것을 조금씩만 아끼고, 아이를 낳은 부부나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기존에 지원해주던 금액에 10~20만 원 씩만 더 보태준다면 이들에겐 큰 힘이 되지 않을까요? 가난한 사람들이 스스로 일어날 수 있도록 힘을 주는 것이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