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아이콘 ‘아시아문화전당’, 두고만 볼 것인가?
광주의 아이콘 ‘아시아문화전당’, 두고만 볼 것인가?
  • 아시아도시재생연구원 이병훈 이사장
  • 승인 2013.12.12 15: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에 짓고 있는 아시아문화전당이 위기에 처해있다. 옛 전남도청 부지이자 5·18 마지막 항쟁지에 건립되는 아시아문화전당은 2015년 개관을 목표로 9년째 진행 중에 있다. 특별법과 장기계획에 따라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터이다. 그런데 박근혜정부에 들어와 이 문화시설의 운영주체와 콘텐츠를 놓고 한 발자국도 못나가고 갈등 양상에 처해 있다.

논란이 야기된 것은 이 거대한 시설을 운영할 운영주체에 대해 주무부처인 문광부가 당초 계획과는 달리 법인화를 들고 나오면서 부터이다. 문광부 산하에 국립기관은 중앙박물관, 현대미술관, 중앙극장 등이고, 법인 형태는 예술의전당 등이 있는데, 바로 예술의전당처럼 운영하자는 것이 법인화의 골자이다.

법인화는 자율성이란 측면에서 그럴싸해 보이는데, 이렇게 되면 건물은 완공되는데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동력을 상실하게 된다. 한마디로 법인화는 자율적으로 돈 벌어서 운영하라는 것이다. 이런 논란속에 개관을 목전에 앞둔 지금 개관콘텐츠가 오리무중이다.

전시와 공연 중심의 시안과, 대중성이 담보되지 않은 현대 예술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는 전당을 운영할 전문조직이 탄생되지 않아 비전문가인 문화부 공무원이 총감독 행세를 하고 있는 데에 기인한다. 공무원은 인사발령으로 그 직책을 떠나면 그만이지 않는가.

문제의 더 큰 핵심은 중앙정부와 광주시간 소통 부재에서 오는 시각차이다. 중앙정부인 문광부는 광주의 요구가 지나치게 많다는 점, 적지 않은 국가예산이 들어가는데 정부에 대한 고마움이 없다는 점 등을 섭섭하게 생각한 반면, 광주시는 문광부가 일방통행 식으로 진행하다보니 지역 의견이 배제되고 있다는 점, 당초계획을 행정편의주의로 변경하려고 한다는 것 등이다.

아시아문화전당은 ‘아시아문화자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세계적인 문화콘텐츠를 창조하고 향유하는 곳’이다. 그러기 위해선 이질적인 가치들과 다양한 사람들이 역동적으로 어울리고, 스스로 진화하는 문화생태계가 되어야 한다.

그 생태계의 대지는 아시아의 전통문화이며, 그것을 숨 쉬게 하는 대기는 문화예술과 과학기술 그리고 인문학이다. 또한 아시아문화의 패권을 쥐자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와 함께 세계를 위한 교류와 창조의 터미널을 지향하자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설립목적과 지향하는 가치에 대한 공감이 너무 부족한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래서 소통이 중요하고 가치의 공유가 필요하다.

1200만이 사는 서울의 예술의전당은 전시장, 공연장 등 대관을 통해 돈을 벌고 운영되는 법인으로서, 아시아문화전당의 설립 목적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박근혜정부 문화융성위의 모 인사가 “아시아문화전당은 150만 명의 도시에 너무 큰 계획”이라고 비판한 것도 그 가치를 인식하지 못한 데에서 나온 단견에 불과하다. 서울에 지으면 국가시설이고, 광주에 지으면 지방시설인가?

원론에 충실하면 각론이 나온다. 무엇보다 전당의 설립 취지에 맞는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먼저 당초 계획대로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체제와 같은 국립기관으로 탄생시킨 뒤 어느 정도 자생력을 갖추면 법인화를 논의해도 좋다. 지금은 아기를 낳자마자 걸어라는 식이다.

물론 문광부의 의지만으로는 안 된다. 운영조직이 탄생하려면 안정행정부의 직제승인과 기획재정부의 예산협조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탄생될 조직에 의해 개관콘텐츠의 준비, 그리고 개관 이후의 프로그램에 대한 로드맵이 나와야 한다. 설사 전면 개관이 늦어져 부분 개관을 하더라도 제대로 가야한다.

그래야 런던의 테이트모던미술관이나,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 빌바오의 구겐하임미술관처럼 국가적 랜드마크가 되고, 문화국가로서의 위상을 세울 수 있다.
 

최신 HOT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