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야기 35 - 조장(棗莊)시 대아장(臺兒莊)
중국이야기 35 - 조장(棗莊)시 대아장(臺兒莊)
  • 강원구 한중문화교류회 중앙회장
  • 승인 2012.06.25 0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강원구 한중문화교류회 회장
산동성 남부의 조장(棗莊)시는 인구가 400만명이나 된다. 조장이란 ‘대추조(棗)와 집장(莊)’을 쓴다. 대추와 별장이 많은 지역으로 우리나라 양평군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대추란 원래 대조(大棗)에서 바뀐 발음이다.

산동성과 강소성 경계 지역에 있는 대아장(臺兒莊)은 연간 강우량이 많아 경항대운하가 100km나 연결되어 있다. 명, 청시기 옛 수로와 부두를 유일하게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강북의 수향(水鄕)’이다.

강남지역에는 서당, 주장, 주가각, 오진, 남순 등에 명청시대 거리에 건물들이 많다. 대아장은 중국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운남성 여강고성보다 아름다운 곳이다.
조장시는 전국시대 사상가인 묵자(墨子)를 비롯해 많은 훌륭한 인물을 배출한 지역으로 찬란한 역사와 숨결이 느껴지는 곳이다. 그곳은 역사가 유구하고 문화는 찬란하며 7300년의 시조 문화, 4300년의 도시 문화, 2700년의 운하 문화, 130년의 공업 문화를 갖고 있다.

1937년 12월 일본군은 남경(南京)을 점령한 후 남북을 연결시키기 위해 우선 서주(徐州)를 점령하기로 결정했다. 1938년 봄, 일본군은 산동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 서주로 진격해왔다.
국민당군 제5전구 사령관 이종인(李宗仁)은 중국 군대를 지휘하여 두 방향으로 나누어 서주로 진격해 오는 일본군을 대아장과 임기(臨沂)에서 저지하기로 결정했다.

대아장 전투에서 지봉성 사단장은 중국 군대를 이끌고 보름이나 버티면서 일본군 주력부대를 대아장 부근으로 유인했다. 이종인은 휘하의 주력부대를 대아장 부근으로 집결시켜 일본군을 포위하여 협공을 가해 일본군 1만명을 사살하고 탱크 30대와 대량의 무기를 노획했다.

이 전투는 중일전쟁 이후 중국군이 전면전에서 거둔 최대의 승리이다. 이로 인해 일본군은 심한 타격을 입었고, 중국인들의 항일전쟁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켰다. 전투를 승리로 이끈 이종인은 계림(桂林) 출신으로 계림방면의 군벌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장(莊)이란 글자는 별장과 같은 집을 나타낸다. 조선시대 돈 있는 양반들은 집을 세 채 정도 갖고 있어야 행세했다. 서울에는 경저(京邸)라 하여, 벼슬을 하려면 서울에 살아야 하기 때문에 집을 가지고 있었다.
집을 나타내는 한자는 가(家), 택(宅), 실(室), 궁(宮), 전(殿), 저(邸), 사(舍), 당(堂), 와(窩), 각(閣), 궐(闕), 정(亭), 옥(屋), 재(齋), 원(院), 관(館), 려(廬), 장(庄), 청(廳), 루(樓), 관(館), 아(衙), 장(莊), 서(墅), 헌(軒) 등 이외에 많이 있다.

자기 고향에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집이 있다. 벼슬에서 물러나면 이 집으로 돌아갔다. 또 하나의 집은 별서(別墅)로 산자락에 위치하면서 계곡물이 흐르는 곳에다가 아담한 규모의 정자와 함께 숙소가 딸려 있는 집이었다.
벼슬할 때는 경저에 머물고, 벼슬 끝나서는 고향 집에 살고, 친구들과 사귈 때는 별장에 가서 쉬었다. 소쇄원(瀟灑園)이 대표적인 별장이며, 더 좋은 곳은 강릉 선교장(船橋莊)으로 경포대 호수와 어우러진 별장이다.

당나라 시인 왕유(王維)는 서안(西安)의 종남산 기슭에다 망천장(輞川莊), 명나라 왕헌신(王獻臣)은 소주(蘇州)에 졸정원(拙政園)을 지었다.
서울시내에는 왕조시대의 건축 제한이 풀리면서 자유롭게 별장을 지을 수 있었다. 시내 중심가에 집의 편리성과 별서의 산속 같은 분위기를 합친 규모의 집들이 들어섰는데 '장(莊)'자가 붙었다.
이승만 박사가 거주하였던 돈암장(敦岩莊)과 이화장(梨花莊), 김구 선생의 경교장(京橋莊) 김규식의 삼청장(三淸莊), 남로당의 박헌영이 머물렀던 혜화장(惠化莊) 등이 유명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