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부작침' , '된다'
'마부작침' , '된다'
  • 윤승현 /생명나무교회 목사
  • 승인 2011.05.11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봄칼럼
윤승현 /생명나무교회 목사
온봄칼럼1-‘마부작침’

마부작침(磨斧作針: 갈 마. 도끼 부. 만들 작. 바늘 침)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이야기의 기원은 시선(詩仙)으로 불리던 당나라의 시인 이백(이태백)의 어렸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백은 아버지의 임지인 촉(蜀)땅의 성도(成都)에서 자랐다. 그때 이백은 훌륭한 스승을 찾아 상의산(象宜山)에 들어가 수학(修學)했는데 공부란 게 그렇게 쉬운 것인가. 어느 날 공부에 싫증이 난 이백은 스승에게 말도 없이 산을 내려오고 말았다. 집을 항해 걷고 있던 이백이 계곡을 따라 흐르는 냇가에 이르렀는데 한 노파가 바위에 열심히 큰 쇳덩이를 갈고 있지 않는가.

"할머니, 지금 뭘 하고 계세요?"
"도끼 갈고 있다. 바늘 만들려고[磨斧作針]."
"그렇게 큰 도끼가 간다고 바늘이 될까요?"
"되고말고. 중도에 그만두지 않는다면."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이란 말이 이백의 마음에 꽂혔다. 큰 깨달음을 얻은 이백은 노파에게 공손히 인사하고 다시 산으로 올라갔다. 그 후 이백은 마음이 해이해지면 바늘을 만들려고 열심히 도끼를 갈고 있던 그 노파의 모습을 떠올리곤 하면서 분발했다고 한다.

현대사의 십자가였던 광주의 5월. 그 하늘을 우러르면서 더 많은 복지, 더 많은 민주주의, 더 많은 평화는 정녕 꿈일까, 라고 자문해본다. 된다. 중도에 그만두지 않는다면. 차이를 존중하면서도 대의를 위해서 하나가 될 줄 하는 비움, 억울하게 권리를 박탈당하고 신음하는 약자를 또 하나의 나로 보는 동병상련의 나눔을 향한 끈질긴 발걸음과 함성을 멈추지만 않는다면.

온봄칼럼2-‘된다’

꽃샘추위도 한풀 꺾이고 이제는 담장 위로 순백의 꽃을 눈부시게 내보이는 목련을 보며 물러설 수 없는 봄이 되었음을 절감할 날도 멀지 않았다. 아무리 두껍게 얼음장이 깔려도 기어코 오고야마는 봄을 기다리면서 마부작침(磨斧作針: 갈 마. 도끼 부. 지을 작. 바늘 침)이라는 고사성어를 생각해 본다.

시선(詩仙)으로 불리던 당나라의 시인 이백(이태백)의 어렸을 때의 이야기이다. 이백은 아버지의 임지인 촉나라 성도에서 자랐다. 그때 훌륭한 스승을 찾아 상의산 들어가 수학했는데 어느 날 공부에 싫증이 나자 이백은 스승에게 말도 없이 산을 내려오고 만다. 집을 항해 걷고 있던 이백이 계곡을 흐르는 냇가에 이르자 한 노파가 바위에 열심히 도끼를 갈고 있는 게 아닌가.
"할머니, 지금 뭘 하고 계세요?"
"바늘 만들려고 도끼 갈고 있지[磨斧作針]."
"그렇게 큰 도끼가 간다고 바늘이 될까요?"
"그럼, 되고말고.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이란 말이 이백의 가슴에 꽂혔다. 생각을 바꾼 그는 노파에게 공손히 인사하고 다시 산으로 올라갔지. 그 후 이백은 마음이 해이해지면 바늘을 만들려고 열심히 도끼를 갈고 있던 그 노파의 모습을 떠올리곤 하면서 시선의 실력을 닦았다.

가파른 세상이다. 나 하나 몸부림친다고 뭐 나아지겠나, 라는 신음이 목구멍까지 올라온다. ‘이 세상’이라는 산에서 하산(下山)하고 싶다. 흐려진 마음에서 케 세라 세라가 솟구친다. 하지만 시(詩)가 없는 삶은 무(無). 시인이 고통과 불안과 두려움의 도끼를 갈아 자유와 안식의 바늘을 만들 듯이 우리도 삶의 도끼를 갈아보자. 바늘이 된다.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