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민운동가의 지방의원 도전기
한 시민운동가의 지방의원 도전기
  • 시민의소리
  • 승인 2010.06.07 10:56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임승호(광주남구의원 후보)

시민운동 11년 경력을 가지고, 주민중심 생활정치 회복을 외치면서 지방선거에 도전하였다. 11년 동안 시민을 위해 제도개선을 이뤄왔고,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각종 토론회를 기획하고 진행했으며, 부패 정치인 퇴출을 위해 노력해왔던 시민운동가를 주민들은 선택해 줄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거결과가 발표되면서 시민운동가 출신 후보의 외침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이 드러났다. 낙선이다. 득표율 11.4%. 후보가 7명이나 되다보니 실제로 주민정치에 대한 공감하시는 분들의 순수한 득표율이라 할 수 있다.

내가 걸어온 길을 인정해 주신 분들과 푸른길과 대촌, 유안공원 등에서 주민들을 직접 만나 뵙고 말씀드린 ‘주민중심정치’에 대한 내 생각에 공감해주신 분들이 10명중 1명 이상은 된다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이것은 과분한 결과이기도 하다.

11년 간 시민운동을 했지만 서울과 광주광역시 단위로 일을 했었기 때문에 주민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주민들과 함께 동네에서 ‘관계’를 맺고 살아온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나를 지지해주셨고, 그래서 선거결과를 통해서 나는 ‘희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선거과정을 통해 느낀 점은 주민과 함께 직접적으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면, 주민들의 신뢰를 받기 어렵다는 점이었다. 시민운동가의 입장과 주민의 입장은 ‘인식’의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선거에서 ‘표’는 유권자인 주민에게 있다는 점이다.

동네에서 주민과 함께 울고 웃으며 살아오지 않으면 주민들은 후보가 ‘정치꾼’인지 ‘시민운동가’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운 것이 당연하다.

또 시민운동가는 논리와 명분을 가지고 운동을 하기 때문에 ‘조직’이 없다. 그렇다보니, 선거에서는 맥을 출수가 없는 것이다. 당 조직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우리사회에서 선거는 명분이나 가치의 싸움이라기보다는 ‘조직력’의 싸움이다. 

주민정치는 동네에서 주민과 날마다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사람이 할 수 사람의 것이다. 시민운동가가 동네정치를 하려면 먼저 동네문제와 동네공동체에 강력할 결속이 되어있는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는 쓰디 쓴 교훈을 얻은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 2010-06-08 10:10:20
진정한 시민운동가 되시길 바랍니다
혼자 자족하는 지식인이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