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별관은 원형보존되어야 한다
도청별관은 원형보존되어야 한다
  • 시민의소리
  • 승인 2008.09.09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상집 참여자치 정보센터 이사장

도청별관 철거를 반대하며 도청 전면에 프랑카드를 붙인 채 천막농성에 돌입한 ‘도청원형보존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의 투쟁이 두 달 보름이나 되었다.

현재 5·18 유족회,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기념재단 등 4개 단체가 동참하고 있고, 처음 농성을 시작한 ‘기동타격대’는 80년 5월 27일 마지막까지 도청별관에서 계엄군과 저항하다가 체포되었던 최후의 생존자로서 29명 전원이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최초에 문화전당 공모안이 나왔을 때부터  5·18관련단체의 반대가 있었다. 도청본관 건물과 민원실만을 남겨둔다는 게 최초 공모안의 방향이었는데, 반대 이후 경찰청 본관과 경찰청 민원실, 상무관 등을 존치한다는 쪽으로 ‘보존건물’들이 확대된 것이다.
  
도청별관 철거 합의 문서 있나
   
5·18관련단체는 2005년 7월 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을 만나 도청 원형보존을 약속받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반면 추진단은 당시 합의내용 중 ‘도청 건물을 철거하려면 5·18관련단체들과 합의한다’고 되어있기 때문에 이미 그러한 합의절차를 거쳐 추진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근거로 문화체육관광부는 2006. 6. 26일자로 5·18관련단체들이 『아시아문화전당 건립부지 내 5·18관련 보존공간 활용계획안』을 제출하였으며, 그 내용에는 도청별관 철거를 전제로 한 <제안>이 들어있으므로 이미 5·18관련단체들이 도청별관 철거에 동의한 증거자료라며 반박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5·18관련단체 대표들을 모두 면담한 결과, 어느 한 사람도 도청별관 철거에 동의한 적이 없으며, 그러한 <제안서>를 본 적도 없고 도리어 반대해왔다는 사실만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5·18관련단체들은 도청별관 철거 합의와 관련하여 더 이상 공식적으로 문서화된 자료가 없을 경우, 문화체육관광부나 산하 추진단이 날조된 문서로 5·18관련단체들을 우롱한 것으로 판단하고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며 문화체육관광부를 몰아붙이고 있다.
   
도청별관은 도청 전면의 3/5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세계적으로도 이미 5·18 광주의 상징이 되어버린 도청건물의 3/5을 헐도록 문화전당이 설계된 이유는 무엇일까?
 
5·18관련단체들의 합의가 없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추진단이 합의했다고 주장하는 5·18관련단체 대표들이 도청별관 철거를 반대한다며 농성하고 있고, 날조된 문서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고 서명했지 않은가?
 
추진단이 별관 위치 착각하게 해 
 
추진단이나 일부 시민단체들은 5·18관련단체들이 도청별관 철거에 대해 이미 알고 있었으면서 공사착공이 지난 시점에 문제를 제기한 점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또한 설계작의 모형만 봐도 별관이 철거된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는데, 그 동안 얼마나 무관심했길래 왜 이제 와서 철거반대를 주장하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5·18관련단체 회원들이나 대부분의 시민들, 상당수의 지역언론도 최근에서야 도청 전면의 3/5에 해당하는 도청별관이 헐릴 거라는 사실에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원래 추진단이 말한 별관은 70년대에 지어진 건물로 도청 공무원들도 신관이라 부르고 있었다. 그런데 이 신관을 추진단은 별관이라 명명하여 ‘도청 뒤에 있는 작은 건물’로 착각하게 만들었다며 5·18관련단체 회원들과 이를 안 시민들은 격분하고 있다.
   
추진단이나 일부 시민단체들이 명심할 대목은 거꾸로 ‘도청건물의 전면 3/5에 해당하는 도청별관이 헐린다는 사실을 알고서도 왜 도청별관 철거를 당연시하고 가만히 있었느냐?’는 5·18관련단체 회원들과 시민들의 분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