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임시공휴일 지정 통해 일시적 이동 중단이 해법이다
코로나, 임시공휴일 지정 통해 일시적 이동 중단이 해법이다
  • 김순옥 논설위원/정치학박사
  • 승인 2020.02.27 2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순옥 논설위원/정치학박사
김순옥 논설위원/정치학박사

인류에게 전쟁보다 더 무서운 것은 전염병의 창궐이었다. 그런데 이런 바이러스는 신종바이러스로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세에 마녀사냥이나 조선에서 마마라는 전염병 등이 모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의 창궐이다. 옛날에는 전염병이 창궐하면 국가나 정권 자체가 위태로웠다.

우리는 세상이 참 좁다라는 말을 종종하곤 한다. 어떤 사람을 만나고 보니 내가 아는 사람과 친한 사람이라든지, 네트워크를 연구자들은 통상 몇 단계만 거치면 거의 다 연결되거나 접촉할 수 있다고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사회네트워크 이론에 비추어 보면 노드와 노드 사이에 위치한 노드는 코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할 것이다. 특히 서브(sub)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노드는 허브(hub) 역할을 할 것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는 것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이론으로 검토한다면 코로나19바이러스 확산 노드의 특성과 가능한 연결선의 총 수 대비 관측된 연결선의 수로 네트워크의 밀도(density)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전염병 확산을 네트워크이론으로 파악해 보면 노드 간 연결선의 유무(Presence/Absence)로 관측할 수 있을 것이며,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네트워크에서 노드간의 최단거리와 최단경로를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네트워크에서 추이성을 정량화한 지표를 구해 볼 필요가 있다. 필요할 경우 인접거리(adjacent distance), 최단거리, 최단경로,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을 산출하는 등의 분석을 종합하여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네트워크 모형을 설계하고 어떤 노드가  새로운 노드를 끌어올 가능성이 큰지를 가정하거나 여러 가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네트워크를 임의로 생성하는 등 대유행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임시공휴일을 지정하여 전국적인 이동을 일시적으로 중지 또는 차단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을 거대한 유기체적 존재로 본다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상황이 만들어 지고 있는 현실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라인 스톱(line stop)이 불가피하다고 본다. 이동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확산 방지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 본다. 중국의 경우 확산세를 그나마 막고 있는 것은 이동을 차단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임시공휴일을 지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모든 공공장소나 사람들이 이용하는 통로 등을 샅샅이 소독해야 한다.

셋째, 철저하게 과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퇴치는 철저하게 의학적 방법에 의한 대응이 중요하다. 이참에 우리도 국가적인 전문연구자나 연구기관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신종 바이러스는 계속해서 진화한다. 인류가 존재하는 한 바이러스와의 전쟁은 항상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부를 중심으로 국민이 모두 하나 되어 대응하되 철저하게 과학적인 방법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은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일시적으로 모이지 않아야 한다.

넷째,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이번 특정 종교에 의한 감염사실을 확인하는 데 사실상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 바람에 확산을 방지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명확한 법률을 제정하여 감염병의 확산을 초기에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고위험군에 대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 인간은 결국 폐질환으로 죽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사망에 이르는 사람들은 대개 폐질환을 앓고 있거나 노인이거나 생활환경이 열악한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의 전쟁 즉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전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고위험군을 얼마나 지켜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노령인구와 취약계층 등 고위험군에 대한 집중관리를 통해 사망률을 낮추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민과 함께 코로나19 바이러스 퇴치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의료적인 것은 전문의료인들이 할 수 있겠지만, 고위험군에 대한 동태관리나 다양한 장소에 대한 살균소독 등은 국민의 자원봉사를 통해서 해결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보건의료인력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최신 HOT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