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다는 것은 생각없이 살 때 어려운 일이다
산다는 것은 생각없이 살 때 어려운 일이다
  • 노영필 철학박사
  • 승인 2018.10.04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다는 것은 게으름이다. 하기 싫고, 새로운 것보다 했던 것을 바꾸지 않고 지내고 싶은 게 사람 심리다.

새로운 도전보다 반복해 익숙해지는 게 편하다. 지식을 쌓는 공부는 몇번씩 반복해야 기억이 된다. 지금 우리가 학교에서 하는 공부는 반복을 위한 경험이다. 문제는 머리만 경험하게 하기 때문에 행동의 경험이 낯설어 한다.

그래서 삶이 어려울지 모른다. 경험(체험)이 중심이 되는 교육으로 바뀌면 가능할까? 누구나 시작하기 쉽고, 하고 싶은 일이 될 수 있게 하는 일은 경험의 과정을 빨리 겪게 할 때 가능하다. 경험만큼 좋은 교과서는 없다. 그 경험이 유용하다면 반복적으로 익히게 해야 한다.

지식 공부를 통해 삶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것은 한계가 많다. 광범위한 지식의 세계, 그걸 점령해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자기 정리가 안 되면 지적 열등감만 키운다. 지적 패배감만 커지고 심리적 허탈감만 커진다. 이 공허감을 강하게 키우는 길은 경험을 통해 깨닫게 했을 때다.

나이를 먹어도 삶이 어렵다. 부딪혀 오는 상황 앞에 늘 당황스럽다. 상황 분석이 안 된다. 대책을 찾을 수 없다. 주변에서조차 도움을 받을수 없다면 극도의 멘붕에 빠진다. 어떻게 찾아야 할까 스스로 나서 전문서적이나 전문가에 의존하지만 그냥 지식의 늪에 빠져버린 채 헤어나지 못하면 열패감만 커진다.

우리가 지식으로 가장 먼저 배울 내용은 한 가지다. '생각할 줄 아는 법'을 배우는 일이다. 그걸 너무 복잡하게 과목으로 쪼개 놨을 뿐 종합하는 과목이 없다. 종합하는 과목이 ‘생각함’이다.

칸트는 “철학을 배우지 말고, 철학함을 배우라”고 강조했고, 학생들이 '내용 없는 개념'을 농(弄)하고 '흉내 내 이야기'하는 것을 경계했으며, '스스로 생각'하고 '제 발로 설 것'을 요구하였다.

생각하지 않으면 자기에게 익숙해진 방식에 머물러 그렇게 살다 죽는다. 습관의 집에 갇히고 관성의 노예가 되어 변화를 싫어하고 변화를 피해가려고 한다.

그래서 칸트는 “인간은 무엇인가?”를 묻고 그 답을 찾아가는 길을 '생각함'에 두었던 것이다.

생각하지 않으면 게으르 게 산다. 아니 제대로 생각할 줄 모르면 자신이 게으른지도 의식하지 못한 채 산다. 그걸 자존심이라고 생각하고 자기를 지킬 수 있다고 위로한다.

내가 아는 지식의 범위가 충분한지, 상대가 나보다 나은 논리인지, 대화의 쟁점을 서로 일치시키면서 대화하는지, 사실은 잘 구분하지 못한다. 어떤 중재자는 차이가 있는데도 차이가 없다고 양쪽이 똑같다고 비난을 서슴없이 한다.

관성의 집에 들어가면 자기를 지키는 신념이 객관적인 질서가 되고 만다. 철저하게 주관에 사로잡힌다. 우리 현실은 평소 보편성을 찾아가는 훈련이 약해서 결론을 타당하게 끌어내는 것보다 어거지결론이 태반이다.

승복할 줄도 모른다. 차이를 구분할 줄 모르고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니 승복은 더더욱 안 된다.

어떤 사안에 대해 공부가 부족하니 공부하라고 했더니 그랬다. ‘그 놈의 공부했다’고 했다. 그 때 공부하라는 요청은 지식나부랭이가 아니다.

그 사안을 아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 사안 둘러싸고 있는 문제들의 상관성을 끌어내고 그 문제 속에 담겨있는 차이, 그 문제의 본질과 형식을 꿰뚫어 내는 일을 파악해 낼 수 있는 힘을 갖는 것도 중요한 공부다.

어떤든 사안에 대한 상황을 완벽하게 정리하지 못하면 실수투성이다. 그래서 여러 사람이 모여 집단지성을 모으는 것이다. 그게 가능한 것이 민주주의사회여서다.

교육청의 학교미투사건 대응도, 시청의 지하철 건설을 둘러싼 공론화를 하자는 것도 그 신뢰를 높이는 일은 간단하다. 실수를 인정하고 머리를 맞대자고 해야 한다.

교육청과 시청은 수습하느라 쉬쉬하고 숨기는 인상만 줄 것이 아니라 사회적 노력, 공정하고 현 단계에 맞는 해법을 찾기 위한 ‘과정의 신뢰’를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롤스가 말한 정의다. 과정의 민주적 노력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쥐고 있다.

교과서에서 법은 정의롭다 이야기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정의는 상황논리가 더 크게 작용한다.

아이들에게 그런 경험의 교육을 시켜야 한다지만 교사들도 태반이 생각함이 약하다. 그렇게 배워왔고 살아왔다. 대한민국이 바뀌는 일은 장관을 바꾸고 교육감을 바꾸는데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다.

생각함과 경험의 교육시스템을 만들 때 삶이 온전히 떠받들어질 수 있지 않을까.

최신 HOT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