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71) 춘우신접(春雨新蝶)
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71) 춘우신접(春雨新蝶)
  • 장희구 시조시인․문학평론가
  • 승인 2018.04.19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비들은 자기 날개 젖는 줄도 모른 채로

봄 나비가 봄의 전령이 되는 것처럼 꽃에도 앉아 보고 잎에도 앉는다. 서로 꼬리를 잡아 보려고 제법 술래잡기 하는 모습도 자주 본다. 사람을 조롱하듯이 하늘을 날아 솟구치다가 눈앞에 나타나 약을 바짝 올리기도 하는 장면에 웃는다. 그런데 갑자기 봄비를 만났다. 어떤 녀석은 그늘을 찾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봄비의 장단에 맞춰 덩실덩실 뛰기도 한다. ‘봄비 그것쯤이야’ 하면서 제 날개 젖은 줄도 모르고 춤추는 모습을 보고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春雨新蝶(춘우신접) / 김청한당

봄 나비 나와서 떼 지어 날아다녀

보슬비 맞고서 어지러이 난다나요

날개가 젖어들어도 봄바람에 춤추네.

新蝶已成叢 紛飛細雨中

신접이성총 분비세우중

不知雙翅濕 猶自舞春風

부지쌍시습 유자무춘풍

나비들은 자기 날개가 젖는 줄도 모르고[春雨新蝶]으로 번역해본 오언절구다. 작자는 김청한당(金淸閒堂:1853∼1890)으로 여류시인이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봄 나비들이 벌써 떼를 지어 날아가고 있네요 / 보슬비 보슬보슬 맞으면서 어지러이 날면서요 // 나비들은 자기 날개가 젖어 있는 줄도 모른 채로 / 나비를 따라 봄바람에 저절로 춤을 추네요]라고 번역된다.

위 시제는 [봄비 속에 새로 나온 나비]로 번역된다. 어느 집 뜰이어도 좋다. 봄비가 보슬보슬 내리는 새봄이다. 그 보슬비 속을 나비들이 춤을 추며 이리저리 날고 있다. 보슬비가 주룩주룩 내리는 것에 아랑곳 하지 않는다. 그저 봄이 좋고 봄비가 좋았을 것이다.

시인은 날고 있는 나비를 보고 있다가 걱정스러워 묻는다. ‘네 날개가 젖지 않았니?’ 한 나비가 춤추다가 응석을 부리는 말투로 대답한다. ‘날개쯤야 괞찬아요?’ 여인이 다시 묻는다. ‘그렇구나? 날개가 젖으면 많이 힘이 들텐데?’ 나비가 잠시 날개를 접으며 말한다. ‘힘은 들지요. 그러나 우리 봄나비는 봄 뜰을 날며 춤추는 것이 좋아요. 그러니까 봄의 뜰을 떠나서는 우리의 삶이 있을 수 없어요.’ 나비는 다시 날며 춤추기 시작한다.

화자는 다시 날며 춤추는 봄나비를 바라보다가 혼자 중얼거린다. ‘그래 맞아, 날개 젖는 것이 두려워 삶을 포기할 수는 없겠지.’ 삶의 주체는 자기 자신이라고. 그 삶이 힘찬 것이 되던가, 맥 빠진 것이 되는가 하는 것도 자신에 달려 있다고. ‘비 좀 맞더라도 기죽지 말고 신나게 살자. 우린 폭풍우도 견딜 수 있으니’라고 말하면서…

위 감상적 평설의 요지는 ‘나비 떼들 지어 날고 보슬비는 어지러이, 젖은 줄 모른 나비 날개 나비 절로 춤을 추네’ 라는 상상력이다.

=============

작가는 김청한당(金淸閒堂:1853∼1890)은 조선 후기의 여류시인으로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그나마 생몰연대나마 남아있어 시대적 상황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한자와 어구】

新蝶: 직역하면 새로운 나비나, 여기선 ‘봄나비’. 已: 이미. 成叢: 떼지어 다니다. 떨기를 이루었다. 紛飛: 어지럽게 날다. 細雨中: 보슬비가 내기는 가운데에서도. // 不知: 알지도 모른다. 雙翅濕: 두 날개가 젖어 있다. 猶: 오히려. 自舞: 저절로 춤을 추다. 덩실덩실 춤추다. 春風: 봄바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