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의 미래 먹거리, 공장굴뚝보단 자연을 8
전남의 미래 먹거리, 공장굴뚝보단 자연을 8
  • 베를린=권준환 박용구 기자
  • 승인 2015.06.18 14: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일의 숲, 가족들의 여가 및 휴식공간의 역할
최근 전남도가 발표한 ‘숲속의 전남’ 10년 계획이 그 동안 진행돼왔던 단발성이고 관 주도의 사업형태에서 벗어나 도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사업이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민의 소리>는 전남도의 ‘숲속의 전남’ 10년 계획을 점검하고, 국내 및 해외 우수사례 취재를 통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획보도 시리즈를 연재한다. /편집자주

   
 
취재진은 세계 최초의 도시숲이면서, 도시숲이 가지고 가야할 방향성을 완벽하게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슈타트발트(Stadtwald)를 둘러보고, 프랑크푸르트(Frankfurt)를 출발해 베를린(Berlin)으로 향했다.

베를린은 자유롭고 여유로운 도시다. 또한 사람에 대한 신뢰를 기본으로 생활이 이뤄지지만 철저히 개인주의적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흡연자들은 길을 다니면서 자유롭게 담배를 핀다. 심지어 S반(S-bahn:독일의 근거리철도) 전철역 안 플랫폼에도 재떨이가 있다. 그 누구도 그 사람에게 뭐라 하거나 눈을 찌푸리거나 손을 휘휘 젓지 않는다. 흡연자들의 권리를 존중하는 것도 있지만, 사실 남에게 크게 관심을 갖지 않는 부분도 있다.

그리고 맥주를 음료수처럼 들고 다니며 U반(U-bahn:지하철)을 타고, 기차를 타고, 버스를 탄다.
S반이나 U반을 탈 때는 표를 낸다거나 검사하는 곳이 따로 있지 않다. 버스를 탈 때는 표를 버스기사에게 보여주긴 한다. 하지만 휙휙 지나가며 보여주는 표에 찍힌 그 작은 글씨들을 절대 하나하나 확인할 수는 없다. 자신의 양심만 속인다면 어제 썼던 표를 또 써도 버스를 타는데 지장은 없다는 소리다.

자유롭지만 책임이 뒤따르는 나라

이는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가 바탕이 되는 독일인들의 사고방식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가끔 표를 확인하러 돌아다니는 단속관에게 무임승차한 것이 걸리면, 벌금도 무척 높을 뿐더러 두 번 이상 걸릴 경우 집중관리(?) 대상이 된다.

독일 사람들은 학생들에게 절대 공부하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믿어주고, 자유를 보장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한 과목이라도 낙제를 하면 그 과목뿐만 아니라 한 학기 전체를 다시 이수해야한다. ‘자유의 보장’에 따른 ‘철저한 책임’이 뒤따르는 것이다.
그래서 혹자는 독일을 ‘여행가긴 좋지만, 살기는 팍팍한 나라’라고도 말한다.

독일인의 이러한 철저함 때문에 숲을 가꾸는데 있어서도 철저한 연구와 계획에 따라 진행된다. 베를린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티어가르텐(Tiergarten)도 마찬가지다.
티어가르텐은 ‘동물정원’이란 뜻으로서, 브란덴부르크 제후였던 요하임2세(JoachimⅡ)의 사냥터로 만들어졌다. 그러다 프리드리히2세(FriedrichⅡ)때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티어가르텐, 숲 외곽에 주요 시설 위치

티어가르텐의 중앙인 그로서 슈테른(Grosser Stern)광장에는 프로이센-덴마크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전승기념탑(Siege Saeule)이 세워져 있다. 그로서 슈테른 광장을 중심으로 큰 길들이 방사형으로 이어진다.
또한 숲의 외곽을 둘러 대통령 관저와 국회의사당, 각국의 대사관 등 주요 시설들이 배치된 신기한 구조다.

취재진은 티어가르텐에 이어 독일이 산림을 가꾸는 데 있어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들어보기 위해 베를린 산림청을 찾았다.
산림청(Forsten)은 베를린 동남부 지역인 프리드릭스하겐(Friedrichshagen)에 위치하고 있다. 산림청답게 사방이 숲으로 둘러싸여있고, 벌목된 통나무들이 한쪽에 가지런히 쌓여있었다.

▲마크 프래노쉬(Marc Franusch) 베를린 산림청 산림조성 담당자
미리 일정을 잡아놓은 관계로 직원의 안내를 받아 베를린 산림청의 산림조성 담당자인 마크 프래노쉬(Marc Franusch)씨를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독일 산림청이 숲을 조성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가족들끼리 여가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자유로운 환경을 조성하는 것, 그리고 깨끗한 물과 맑은 공기를 생산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베를린은 독일의 수도인 만큼 숲을 통한 여가와 휴식의 공간을 만드는데 특히 신경을 쓰고 있다. 실제로 베를린 면적의 20% 이상을 숲이 차지하고 있으며, 독일 전체로 봤을 땐 3분의 1이 숲이라고 했다. 숲과 공원, 호수 등 녹지면적을 모두 합하면 베를린 총 면적의 45%를 차지한다.
프래노쉬 씨는 “독일 전체적으로 동물과 나무, 꽃 등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산림법, 숲의 보존과 활용을 고민하다

독일에서 산림조성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독일연방산림법(Buncleswaldgesetz)’은 주마다 지역에 맞게 조금씩 내용을 달리 하지만 전체적인 목적은 같다.
바로 ‘숲을 어떻게 보호하고, 어떻게 더 키울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다. 산림법에 따른 사업을 통해 나무를 얼마나 벌목할 수 있고, 또 얼마나 키워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어떤 지역은 벌목 자체가 법적으로 금지되기도 한다.

독일의 산림법은 숲과 휴식공간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다. 또한 숲으로 관광 오는 사람들에 대해 텐트를 치거나 불을 피우는 것 등도 산림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특히 도심의 숲에선 절대로 금지하고 있다.

독일의 숲은 50%가 국가 소유가 아니라 개인 소유다. 개인 소유라고해도 전체적으로 산림법을 따라야하고 담을 세우는 등 다른 사람의 출입을 막아선 안 된다.
독일 국민 중 200만 명이 개인 소유의 숲을 가지고 있다.
이 중에는 숲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할 만큼 작은 숲(마크의 표현에 따르면 ‘눈곱만큼 작은 숲’)을 가진 사람이 많다고 한다.
프래노쉬 씨는 이 부분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누구나 자신만의 숲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놀랐던 것은 그토록 큰 규모의 베를린 티어가르텐을 숲이 아닌 공원으로 본다는 점이었다.
숲과 공원의 차이점은 여러 가지 조건이 있지만, 가장 큰 기준은 자연적으로 어떤 환경이냐에 따라 나뉜다.
‘숲’은 모두 나무로 이뤄지면서 풀을 따로 깍지 않고 그대로 놔두는 것이고, ‘공원’은 나무와 풀이 함께 있으면서 잔디를 임의로 깎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