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의 권리 스스로 찾을 겁니다"
"10%의 권리 스스로 찾을 겁니다"
  • 시민의소리
  • 승인 2001.07.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애인 복지도 참여정치로 실현한다.'. 지난 4월 16일 광주염주체육관에서는 '10%의 권리장전'이 선포됐다. 전체 인구의 10%를 차지한다는 광주지역 장애인 1천 500여명이 모여, 전국에서 처음으로 '광주 장애인유권자연대'를 결성한 것. 척추장애인인 정병문씨(43)는 바로 이 유권자연대 초대 상임의장이다.

장애인복지운동과 주민자치운동은 얼핏 따로 노는 수레바퀴다. 여간해서는 두 운동간에 관련성을 찾기 힘들다. 장애인유권자연대는 이 두 운동을 톱니처럼 맞물려 돌아가게 하려는 움직임이다. 말하자면 따로 노는 두 수레바퀴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축'과 같은 일을 하려는 것이다.

실제 장애인유권자연대는 내년 지방선거에 적극적인 참여를 모색하고 있다. 투표 기권을 최대한 방지하는 캠페인을 벌여 정치적 목소리를 키우는 한편, 비례대표 몫을 챙겨 광주시의회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정의장은 "부산, 서울, 경북 등에서도 장애인들이 비례대표로 의회에 진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며 "그동안 정치인들끼리 나눠 먹었던 비례대표 몫이 장애인들에게도 돌아올 때가 돼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전국 최초 장애인 유권자운동 조직
기권방지 캠페인.비례대표 진출 등
내년 지방선거 적극 참여 모색
장애인 위상 높일 자체후보 계획도
"우리도 유권자...목소리 제대로 낼 터"


특히 관심을 끄는 장애인유권자연대의 움직임은 자체후보 전술. 장애인유권자연대의 이름으로 광주지역에서 대략 3명의 시의원 후보를 낼 계획이다. 장애인복지에 관심을 갖는 후보에 대한 지지운동과 함께 지역에 뿌리를 둔, 경쟁력 있는 장애인 후보를 발굴해 지방의회에 진출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유권자연대는 광주지역 시민단체와 연대활동은 물론 '시민후보'를 내기로 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칭)광주자치연대'와도 공조관계를 다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유권자연대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여전히 직능단체의 성격이 강하고, 지역에 뿌리를 둔 주민자치운동과는 거리가 먼 게 사실이다. 정 의장도 이같은 지적에는 동의한다.

"장애인의 사회적 지위와 위상을 높여야 한다. 장애인유권자연대는 그 방법을 지역에서부터 찾으려는 것이다" 그와 장애인유권자연대가 찾는 '방법'은 과연 맞는 답일까?

유네스코는 장애인을 10명중 1명꼴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는 등록장애인만 98만명, 보건복지부는 미등록자까지 포함해 140만명으로 추정한다. 광주는 등록장애인만 9만여명이다. 하지만 정치적 목소리는 크지 않다. 정치 자체에 대한 참여율이 낮기 때문이다. 특히 공직 선거시 낮은 투표율은 스스로의 지위를 깎아 내린다. 단체장도 정치인도 정치 참여가 없는 장애인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스스로 목소리에 힘을 싣기 위해서는 장애인 역시, 주권의식을 가진 '유권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정 의장의 생각이다. "지방자치 단체장의 의식을 확고하게 바꾸든지, 장애인이 직접 들어가서 해결하겠다"는 장애인유권자연대의 선언이 예사롭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병문씨는
휠체어에 의지하는 척추장애인이다. 서강대 정외과 4학년이던 1984년 실족사고로 경추를 다쳤다. 3년여를 병상에서 지냈고, 대학은 중퇴했다. 좌절을 딛고 재기한 것은 1990년부터. 같은 처지에 있는 척추장애인 조직을 구성하며 활발한 장애인복지운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지방자치시대에는 구나 동단위에서 자치개념의 장애인복지운동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광주장애인총연합회 감사와 광주시 서구장애인협회장도 맡고 있다.


자치시대 신주류 -4 정병문 광주 장애인유권자연대 상임의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