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마녀[말레피센트]와 동양선녀[가구야 공주]
@서양마녀[말레피센트]와 동양선녀[가구야 공주]
  • 김영주
  • 승인 2014.06.07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말레피센트]는 디즈니 만화영화[잠자는 숲속의 공주]에 등장하는 악랄한 마녀를 새롭게 각색한 실사영화이고, [가구야 공주]는 지브리 스튜디오에서 미야자키 하야오와 오랫동안 손잡고 작품활동을 해온 다카하타 이사오의 만화영화이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는 디즈니 만화영화로 워낙 널리 알려진지라 그 마녀를 모를 사람은 별로 없겠지만, [가구야 공주]는 원작인 일본설화[대나무 숲속의 공주]를 아는 사람이 없을 테니 그 주인공을 아는 사람은 더욱 없을 게다. 안젤리나 졸리가 그 마녀캐릭터에 너무나 딱 어울려서 마음까지 설레며 일찌감치 이 영화를 기다리고 있었다. 다카하타 이사오의 [반딧불 무덤]에 워낙 매료되었고 이어서 [추억은 방울방울] [폼포코 너구리]에 반해서 [가구야 공주]를 무조건 찾아보았다.

이 두 영화는 ‘공주마마’를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과 자연환경에 인간의 횡포가 너무 지나치다는 애니미즘에 의한 생태주의를 주제로 하는 환타지영화라는 점이 비슷해 보여서 함께 묶어서 이야기해 보련다. [말레피센트]에서는 “마녀가 사는 숲속은 야만스런 자연이고 거대한 성채에 사는 인간들은 개발로 문명을 일구는 정복자”라는 고정관념을, 그리고 [가구야 공주]에서는 “가구야가 사는 시골은 찌질한 촌뜨기들의 미개이고 수많은 사람이 바글거리는 도성은 우아한 귀족의 비단꽃”이라는 고정관념을, 이젠 “그 야만스런 숲속과 미개한 촌뜨기가 인간의 문명이나 우아한 귀족에 열등한 게 아니라 오히려 신성한 생명력의 원천”으로 바꾸어 보아야 한다는 주제가 같은 방향이다. 안젤리나 졸리의 팜므파탈한 매혹과 다카하타 이사오의 예술적 작품성이라는 전혀 다른 계기로 이끌려 들어갔다가, 예상치 못한 공통점을 느끼게 되었다. 

 
 
<예고편>
http://movie.daum.net/moviedetail/moviedetailVideoView.do?movieId=56660&videoId=44457&t__nil_VideoList=thumbnail

[말레피센트]는 기존의 [잠자는 숲속의 공주]에서 문명과 야만의 선악 구도를 “인간들의 문명을 상징하는 거대한 성채는 탐욕과 집착에 사로잡힌 악마의 소굴로 변해가고, 미개한 야만을 상징하는 깊은 숲속은 수많은 동물과 식물들이 자연스럽게 다양한 생명을 일구어가는 천국이었다.”며 정반대로 확 바꾸었다. 그래서 선과 악을 극렬하게 대립시켜 강렬하게 폭발시키기보다는 선과 악이 서로 오고가며 뒤섞여서 갈등하는 쪽으로 이끌어가는 게, 그 동안 서양영화들과 다른 점으로 돋보였다. [슈렉]도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패러디했지만 개별캐릭터만 바꾸었을 뿐, 이 영화처럼 스토리의 터전 자체를 확 바꾸진 않았다. 그래도 안젤리나 졸리의 화끈한 카리스마 말고는 대중재미나 영화기술이 [슈렉]을 따라잡지 못하겠다. 역시나 안젤리나 졸리의 팜므파탈한 매혹은 대단했다. 선량함과 순수함을 갖춘 마녀여서 마냥 독살스럽진 않았지만 그 분장만큼은 내가 만난 마녀캐릭터 중에서 단연 최고였다. 내겐 [미스터&미세스 스미스]나 [원티드]에서의 매력보다 더 강렬했다.


 
<예고편 6분> http://movie.daum.net/moviedetail/moviedetailVideoView.do?movieId=82929&videoId=44697&t__nil_VideoList=thumbnail

[말레피센트]가 안젤리나 졸리의 화끈한 마녀캐릭터부터 원작의 스토리 자체를 완전히 뒤짚어 엎는 자극적인 연출이었다면, [가구야 공주]는 순박한 시골생활을 동양화 붓터치나 간결한 크로키 그림체에 엷은 수채화 색채감으로 수수하고 잔잔하게 이끌어간다. 중간에 격렬하고 독특한 장면의 연출이 없지 않지만. 시골과 도성 그리고 서민과 귀족의 일본 풍속도가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몇 백 년을 되돌아간 듯이 잘 그려내고 있다. 그러나 시골의 서민들을 그저 아름답게 묘사하는 감상적 낭만이 너무나 상투적이어서 조금은 서운하다. 하기사 오늘날 도시문명이 너무나 극렬하게 자연을 황폐하게 착취해 가니 그럴 수밖에 없겠다. 그 시절 서민의 가난과 궁핍이 얼마나 혹독했는가는 말하지 않지만, 신분제나 가부장제의 위선과 억압이 지나칠 정도로 혹독했다는 점은 잘 그려내고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다. 남녀 주인공의 얼굴을 예쁘장하게 그리기보다는 우아한 소박함이 살아나는 동양미감으로 그려내지 않은 게 아쉽지만, 중국 애니메이션 [피리부는 목동]에서 몇 걸음이나 더 나아갔다는 점에서 박수를 보낸다.

[말레피센트]는 대단히 서양스럽고 [가구야 공주]는 대단히 동양스러움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애니미즘에 의한 생태주의를 향하여 함께 나아간다는 게 보기 좋았다.

* 뱀발, 그리고 잡담 : 말레피센트? Maleficent, “악행을 저지르는”이라는 형용사인데, 이 영화에선 안젤리나 졸리의 캐릭터 이름으로 ‘악녀 · 마녀’라는 명사로 쓰였다. 흔히 쓰지 않는 낱말이라 사람들이 어리둥절했겠다. 우리 외할머니가 어릴 적에 친정동네에서 살림살이를 어찌나 억척스럽게 했던지 호적에 올릴 때 ‘심악녀’라고 올렸단다. 옛날 분들, 거~차암 순박하다. 아무리 억척스럽기로서니, 아니~ 그렇다고 그 어린소녀를 ‘악녀’라고 이름짓다니 . . . 쩝쩝! ‘김장철’이라는 학생이 있다. 김장철에 낳았다고 해서 동네 사람들이 김장철이라고 부르다가, 호적에 그대로 올라가고 마침내 학교출석부에까지 ‘김장철’로 싱싱하게 살아있었다. “이름 땜에 놀림 받았겠다?”고 물었더니, “제가 등빨이 좋아서 놀림을 받지 않았습니다.”며, 그 얄궂은 사연을 낄낄대며 주저없이 이야기해 주었다. 그 동네사람들의 순박함도 참 그러하고, 아무리 그렇다고 그걸 그대로 호적에 올린 그 아버지는 더욱 참 그러하고, 낄낄거리며 주저없이 이야기해주는 그 학생도 참 그러했다. 그 세 박자 순박함에, 웃음보가 나도 모르게 절로 터져 나와서 큰 소리로 하하하 웃고 말았다. 하~도나 크게 웃어서, 조금은 미안하고 스스로 무안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