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을 넘어 희망을 찾아(4)
절망을 넘어 희망을 찾아(4)
  • 이홍길
  • 승인 2014.04.10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철의 대종교 설립과 그의 순명
▲ 이홍길 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 고문

망국의 현실과 망족의 위기감 속에, 사람들의 물리적 노력이 무망한 가운데 나철이 할 수 있는 진인사의 최종적 노력은 민족정신에 호소하여 온 국민이 일치단결하기 위해서는 국조 단군을 구심점으로 삼는 것이었다. 단군교를 통해 민족의 단합을 과시하고, 할 수 있다면 중국이 피지배 상태에서 몽고 거란 여진을 거꾸로 동화시킨 것처럼 일본을 우리가 동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다행하게도 단군교는 유교 불교보다도 더 오래된 시원적 종교였으며 유교 불교의 가르침으로 쇠망에 이른 민족을 다시 세우는 가르침일 수 있었다.
1909년 1월 15일 밤 자시에 단군교는 700년 만에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반만년을 전래한 단군의 큰 가르침을 버리고 유교 불교 등 남의 조상 남의 귀신 남의 종교를 떠받든 후손들의 배신으로 망국에 이르렀음에도 재앙을 내리지 않고 덕음(德音)을 내리지 않은 것뿐이었다.
나철이 말하는 단군의 가르침은 권선징악으로 의외로 그 교의가 간단명료하였다. 가르침의 효과뿐만 아니라 조선민족의 선양과 단결을 경계하는 일제의 탄압을 의식한 교주 나철의 조심성이 들어난 결과로 볼 수도 있겠다.
서울 북부 제동에서 거행된 단군교 중광의 대례에는 나철 오기호 유근 김윤식 등 수십 명이 참석하여 단군교 포명서를 반포함으로 대례를 마쳤다. 이후 단군교를 대종교로 교명을 바꾼 나철은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하여 교리에 세심한 신경을 써, 애국심을 강조한 조항을 찾아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종교는 시국에 무관하니 입신 안명할 것, 일제가 반포한 신법에 주의하여 범과가 없도록 할 것과 관헌에 순종하고 세금을 잘 내도록 할 것을 교도들에게 당부한 것들은 일견 민족종교를 무색하게 만드는 대목이다.
초기 지도자의 한 사람인 정훈모 등 교도 400여명이 단군을 표면에 내세우지 않으려는 대종교에서 떨어져 나가 단군교를 세워 분파했던 것도 저간의 사정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조심스러운 접근에도 불구하고 일제는 대종교를 경계하여 1915년 포교규칙을 발포하여 대종교를 불법화하고 교도들을 가두 검색하여 단군말살정책을 도모하였다.
궁극적으로 황국신민화를 목표로 하는 일제에게 있어서는 단군이라는 상징은 소멸되어야 했던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대종교는 국권회복의 기수가 될 위험이 있는 단체였다. 일제는 1925년 중국의 동북군벌과 ‘삼시협정’을 맺어 재만 한국인을 탄압하기 위한 협정문에서 “대종교의 중요간부인 서일은 대한 독립운동의 수령으로서 그 교도를 이끌고 일본에 항전하였다. 대종교는 곧 반동군단의 모체로서 종교를 가장한 항일단체이니 중국은 그의 영토에서 이를 해산”할 것을 규정하고 있었다.
1942년 대종교를 탄압한 임오교변의 기소문에서도 “대종교는 단군을 숭봉하여 이에 귀일하고 조선 민족정신을 순화통일하고 민족의식을 앙양하고 조선민족의 결합을 강화하여 조선을 독립국가로 존속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었다.
돌이켜 보건대 통한의 경술국치 전날, 단군의 영정을 단군교 총본사에 안치하였으니, 후손들의 삶의 터전인 나라는 망하였으나 민족혼의 원천인 단군은 다시 살아나고 있었다. 대종교의 신도가 순간에 30만으로 늘어나는 것을 본 일제는 대종교의 종교 등록을 거부하여 그 포교를 불법화하였다.
민족과 애국의 본색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나철의 조심성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이전 중국에 있어서 대종교는 한국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다. 청산리 대첩과 1917년 대종교의 대동단결선언과 대한독립선언은 대종교 구국투쟁의 모습들이었다.
나철은 1916년 김두봉 등 수행원 6명과 함께 구월산의 환인, 환웅, 단군을 모신 삼성사를 참배하고, 그곳에서 스스로 호흡을 끊고 순명하니 민족의 제단에 한목숨 인신공양을 하기에 이르렀다. 나철이 유명을 달리하기 일세기에 이르렀는데 잘난 단군의 자손들은 한나라로 두 나라를 만들어 다투는 소리 동서해에 가득하니 선열들의 애곡성은 하늘을 메운다.
 


최신 HOT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