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여성운동사13>여성운동을 이끌어 나간 수피아 동문(2)
<광주전남여성운동사13>여성운동을 이끌어 나간 수피아 동문(2)
  • 김다이 기자
  • 승인 2012.09.13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 ‘3.10독립운동’ 주모자 박애순 선생

▲1915년 수피아 여학교 고등과 최초 제 1회 졸업생 표제금(왼쪽)과 박애순(오른쪽)
수피아 여학교 초창기 동문 중에는 1919년 3.10 만세운동에 앞장서 옥고를 치르게 된 인물이 유독 많다. 그 이유는 수피아 여학교 출신이자 교사였던 박애순 선생의 진두지휘 하에 여성독립운동을 전개해 나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앞서 소개했었던 최수향과 윤형숙이 독립의지가 불타오르고 여성독립운동가로 거듭나게 된 것은 바로 박애순 선생의 가르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1919년으로 3월 10일로 돌아가 가장 중심축에 서서 수피아 여학생 60여명을 데리고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박애순 선생일대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학생들에게 역사의식 심어주어

▲박애순 선생
전남 목포출신으로 1896년에 태어나 정명여학교 보통과 1회를 졸업하게 됐다. 이후 광주에 올라온 뒤 1915년 3월 수피아 여학교의 고등과 최초 1회 졸업생이 되었다. 당시 졸업생은 표제금과 박애순 둘 뿐이었다. 이러한 그녀가 졸업 이후 서울에서 사범교육을 마치고 모교의 향한 사랑을 내비췄다. 당시 그녀는 3.1운동 당시 북문안 교회 교인이자 수피아 여학교 교사로 지내게 됐다.

근대 신교육을 받은 여성들은 역사의식이 남다른 듯싶다. 그녀의 역사의식 역시 예외가 아닐 수 없었다. 그녀는 교편에 있으면서도 학생들에게는 자주독립의 당위성을 항상 강조했다.

1919년 3월 1일 유관순의 만세운동이 시작되면서 광주에서도 독립운동의 불씨가 타올랐다. 그녀는 서울에서 독립 운동의 밀령을 가지고 내려온 김철과 숭일학교 교사 김강 최병준 등과 함께 3월 10일로 날짜를 정하고 광주 독립만세운동의 계획을 세우게 됐다.

박 선생은 거사를 앞두고 학생들에게 매일신보의 기사를 읽어주면서 “만국 강화회의에 있어서 우리나라도 독립이 승인되었음으로 각지에 독립운동이 전개되고 있으니 우리들도 이 운동을 벌여 대한독립만세를 불러야 된다”며 독립운동에 참여하는 불씨를 당겨주었다.

또한 밤 12시가 넘은 뒤 기숙사 지하실에서 몰래 태극기를 만들었다. 학생들과 교사들을 소집하여 각자 고종황제 인산날에 입었던 치마를 뜯어 한 사람당 10개씩 만들도록 하고 날이 뜨기만을 기다렸다.

▲3.10독립운동 때 수피아 학생들이 만세를 부르며 달려오던 서문통. 오른쪽 건물은 당시 광주 우편국 모습

3.10 대한독립 만세운동 발생

1919년 3월 10일 오후 2시경. 이윽고 울분의 대한독립만세 함성이 터져 나왔다. 그녀를 따라 수피아 여학생들은 선두에 서서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시민들에게 나누어주며 소리 높여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주도하게 된 것이다.

저마다 가슴에 품은 태극기를 꺼내들면서 수피아 여학생들은 양림동 쪽에서 광주 천변으로 뛰어 내려와 장날에 몰린 시민들과 함께 태극기 물결을 만들어 냈다.

이들은 박애순 선생의 주도 하에 서문통(현 우체국 앞에서 황금동 가는 길목) 충장로 파출소와 금남로 구 법원, 다시 우체국 앞으로 시위를 계속하다 광주경찰서 마당으로 들어서서 더욱 맹렬히 조선독립만세를 외쳤다.

이에 뿔이 난 일본 헌병대들은 총대로 여학생들을 마구잡이로 내리쳤다. 그리고 일본 헌병들은 “남들은 종이 태극기인데 네년들은 돈이 어디서 나서 베로 태극기를 만들었느냐, 서양 놈들에게 돈을 받았느냐”며 수피아 학생들에게 마구잡이로 욕을 하며 잡아들였다.

이로 인해 그녀는 독립운동 주동자로 낙인찍혀 1년 6개월(당시 23세) 징역형을 선고받게 됐다. 이 공판에서 가장 긴 징역을 살게 됐던 그녀는 체포되어 가진 혹독한 심문을 받으면서 조금도 흐트러짐 없이 당당한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재판석에서도 “나는 독립을 절실히 희망하기 때문에 그 운동을 주도했다”라고 자신이 주동자라고 시인을 했다.

▲박애순 여사가 생전 애착을 갖고 읽었던 성경책은 현재 독립기념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독립운동 이후 봉사활동으로 살아

또한 복역 기간 중에는 매일 조국의 광복을 위하여 기도를 드리고 성경이 닳도록 읽었다. 그러한 생활 모습을 보인 그녀는 6개월을 남겨두고 모범수로 결국 석방하게 됐다.

이후 박 선생은 사회생활을 그만두고 광주를 떠나 경남 양산군 원동면으로 시집을 가게 됐다. 그녀의 큰 딸이 세 살이 되던 1924년. 상경을 하게 되어 안동교회에서 전도사로 오랫동안 활동하게 되었다. 해방과 동시에 6.25의 숨 막히는 격동 속에서 살면서 전도사로써 봉사활동을 해왔다.

그러던 1955년 어느 날. 불의의 사고로 오른쪽 팔을 못 쓰게 되었지만, 오랜 봉사활동을 펼쳐오다 14년을 더 살고 1969년 6월 12일 74세의 나이로 조용히 세상을 뜨게 됐다.

여성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그녀는 세상을 떠난 훨씬 후에서야 1986년 12월 16일 비로소 독립유공자로 대통령 표창장을 받게 됐다. 이후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받게 되면서 크나큰 업적을 남긴 수피아 100년사 역사에 길이 남는 인물로 재조명되고 있다./김다이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