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민주시민후보의 참패가 남긴 교훈
범민주시민후보의 참패가 남긴 교훈
  • 박용구 기자
  • 승인 2012.04.12 1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민단체, 이제 말보다는 책임있는 행동이 필요

동구의 범민주시민후보의 참패를 두고 시민단체의 입지가 위축되고 있다. “말만 앞세우지 말에 책임을 지는 행동이 없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러한 지적이 나온 배경은 범민주시민후보 추대과정과 추대 후 선거과정에서 보인 시민단체의 태도가 확연히 차이를 보였다는 데 있다. 추대과정에서는 시민단체가 적극적인 열의를 보인 반면 선거운동기간 중에는 후보만이 있었고, 시민단체의 적극적인 결합은 없었다는 게 정설이다.

그 결과 동구에서 범민주시민후보가 참담한 패배를 했다. 김강열 범민주시민후보의 성적표는 초라하기 그지 없다. 1,329표를 얻어 득표율 2.72%로 전체 8명의 후보 중 6위를 기록했다.

먼저 범민주시민후보 추대과정을 살펴보면 광주시민단체들은 광주 동구에서 벌어진 국민참여경선을 위한 선거인단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투신자살 사건이 있은 직후 ‘광주비상시국회의’를 결성했다.

이어 시민 100명과 시민사회단체 회원 90명에 학계, 문화예술계, 변호사회 10명 등 모두 200명으로 구성된 시민배심원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후보추대심사위원회(20%배점)와 시민배심원 현장투표(참가인원 총 138명 중 김강렬 82표, 임낙평 56표)를 합산해 김 후보를 범민주시민후보로 선출했다.

참여단체들도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6.15 공동위원회, 광주전남민주동지회 등 광주를 대표하는 시민단체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김강열 후보의 현수막에 쓰인 문구처럼 광주의 60개 단체가 김 후보를 지지한 것이다.

시민단체의 무공천 요구를 민주당이 받았고, 경선을 통해 후보를 선출할 때까지는 동구에서 커다란 이변이 일어날 것으로 시민단체는 예측했다. 그리고 후보선출에 참여한 시민단체들이 적극 돕는다면 당선도 가능하리라는 희망도 보였다.

그러나 현실 정치의 벽은 높았다. 민주당에서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한 전 의원들의 강세를 역전시키기에는 시민단체의 역량이 턱없이 모자랐다. 아니 역량이 모자랐다기보다는 도울 의지가 부족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당선을 시키고자 했다면 단체별로 자원봉사자를 의무적으로 지원한다든지, 단체의 적극적인 회원들을 통해 지지를 호소한다든지 하는 선거운동에 시민단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했다.

결과적으로 동구의 범민주후보선거는 시민단체의 결정만이 있었고, 그에 따른 시민단체의 책임있는 행동은 뒤따르지 못했다.

이번 선거의 패배를 거울삼아 앞으로의 시민단체의 활동은 결정에 신중하고 결정에 책임을 지는 풍토로 바뀌어야 한다. 이것이 침체된 시민단체가 시민들로부터 다시 지지받고 후원을 받을 수 있는 길이다. /박용구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