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다문화 외고 설립 적절”
“광주 다문화 외고 설립 적절”
  • 정영대 기자
  • 승인 2010.10.10 21: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고설립 찬반 의견…대광여고 외고전환엔 반대 목청
이재남 정책실장, 외고 대안으로 혁신학교 모델 제시

▲ 지난 5일 광주시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정희곤)가 개최한 ‘외국어고등학교 관련 시민의견 수렴을 위한 시민공청회’장면.
광주지역 외국어고등학교 설립을 두고 찬반으로 의견이 갈렸다. 하지만 홍복학원 산하 대광여고의 외고전환에 대해서는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가 높았다.

지난 5일 광주시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정희곤)가 개최한 ‘외국어고등학교 관련 시민의견 수렴을 위한 시민공청회’의 이색풍경이다.

김남순 조선대학교 사범대학장은 “외고로 선정된 대광여고가 비리재단의 속성을 버리지 못해 사회적 비난을 받고 있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면서도 “제대로 된 외고설립을 위해 철저하게 감시·감독할 수 있는 기구와 권한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시대 인재양성과 교육수요자 요구 등 학교신설 취지와 목적 등을 고려할 때 광주에 외고설립은 포기할 수 없는 가치라는 것이다. 특히 광주시가 문화수도를 도시 컨셉으로 잡은 점과 다문화 가정이 늘어가는 추세를 반영해 다양한 언어와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학장은 “문화수도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각 언어권 전문가를 양성하고 정상적 절차로 학교교육을 받을 수 없는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외국어고등학교 설립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현재 선정된 외고는 그런 형태의 외고가 아니다”며 “그동안 외고설립 추진과정에서 제기된 비판의 목소리들을 충분히 고려해 향후 운영방안 등에 대해 철저한 점검이 요구 된다”고 말했다.

다음 발제자로 나선 최은순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장은 홍복학원을 ‘비리재단’으로 규정하고 ‘외고전환 불가’방침을 요구했다.

최 지부장은 “홍복학원이 교재비 15억 원을 횡령해 교장과 행정실장 등이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다”며 “이런 재단에 외고를 맡긴다면 교육공공성은 뒷전으로 밀리고 오직 대학입시를 위한 온갖 부조리한 일들만 저지를 것이 뻔하다”고 주장했다.

외고설립에 따른 교육환경 황폐화와 사회양극화 위험도 제기했다.

최 지부장은 “외고가 어학영재육성이라는 본연의 목적보다 대학입시에 유리한 교육을 하고 있다”며 “대학들이 이들을 우대하는 입시전형을 채택하고 있어 지자체와 해당교육청이 앞 다퉈 외고설립을 추진하고 있어 교육공공성과 학교평준화가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전국에 있는 33개 외고 가운데 20개 학교가 3개 과목에 한정해 외국어를 가르치고 있고 외고학생들의 동일계 대학 진학률은 17%에 그치고 있다”며 “이러한 풍토 속에서 글로벌 인재양성이 가능하냐”고 따져 물었다.

최 지부장은 이어 “‘광주 5년 연속 수능 1위’라는 지표는 굳이 외고나 자사고 없이도 광주교육이 나름의 위상을 지켜온 것을 의미 한다”며 “외려 광주외고 설립이 학교와 학생서열화를 가속화시키고 경제적 요인으로 학부모들까지 줄을 세워 지역공동체를 와해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토론자로 나선 정성홍 광주교육희망네트워크 집행위원장도 대광여고의 외고전환 반대 방침을 분명히 했다.

정 위원장은 “대광여고 설립자가 공금 횡령 등으로 여러 차례 사법처리를 받았을 뿐 아니라 최근에도 교비 횡령 등으로 처벌을 받는 등 호남지역 대표적 비리사학”이라며 “학교운영 재정여건 상 외고로는 매우 부적절한 학교”라고 비판했다.

또 “기존 자율형 공·사립고와 과학고에 더해 외고까지 설립돼 광주 인재를 독점하게 되면 학교·학생 간 학력차가 심해져 중도포기가 늘어나게 된다”며 “지역과 인재를 걱정한다면 다양성 사회에 공감할 수 있는 ‘평등교육’을 통해 지역에 더 큰 발전을 가져와야 한다”고 주문했다.

현재 광주지역에는 기존의 과학고 1곳과 자율형공·사립고 각 3곳 등 7개의 특수목적고가 있다.

이성일 광주시외국어교육협의회장은 외고설립의 당위성을 강조하면서도 시교육청의 대광여고 외고선정에 대해서는 “외고를 할 마음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 회장은 “글로벌 시대에 걸 맞는 대학과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는 것이 추세”라며 “현재의 평준화교육으로는 대학에서 제대로 영어강의를 들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140만 명 인구의 광주에 교육다양성 차원에서라도 외고 1개 정도는 필요하다”며 “광주에 국제적인 수준의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재남 전교조 광주지부 정책실장은 대광여고 외고전환 반대를 넘어 외고자체 반대를 주장했다. 한마디로 외고는 실패한 정책이라는 것이다. 대광여고 외고전환도 절차문제와 법정 전입금, 사학운영 건전성 등을 이유로 반대했다.

이 실장은 “정부와 한나라당도 외고폐지를 검토하다 수정·보완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며 “외고가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왜곡하고 착시현상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외고가 외국어 교육보다 명문대 입학을 위한 입시교육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 대신 혁신학교를 외고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 실장은 “학교 평준화 체제가 붕괴되면 초등학교까지 서열화를 조장하고 엄청난 사교육비 열풍이 불게 될 것”이라며 “혁신학교 모델을 외고대안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정운용 광주시교육청 사무관은 “대광여고 설립자가 불미스런 전력이 있지만 이번에 외고를 신청한 것은 육영사업을 위해 지역발전을 꽃피워보자는 것”이라며 “현재 법정전입금은 굉장히 낮은 수준이지만 향후 36억여 원의 추가수익용 재산을 출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 사무관은 이어 “아직 외고지정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라 진행형”이라며 “교육부 공문에 10월5일 공청회 의견을 올리겠다는 내용을 첨부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