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대책위, 본관-보존별관 4층 연결통로 ‘손뼉’
시, 문광부 등과 적극 협의…추진단 입장변화 주목
시, 문광부 등과 적극 협의…추진단 입장변화 주목
광주시와 5·18사적지 원형보존을 위한 시도민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구 도청별관문제 해결에 손뼉을 마주쳤다. 대책위가 ‘본관과 보존 별관 사이의 연결통로’를 제안하자 시가 ‘광주의 정체성을 담아낼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화답하고 나선 것.
시와 대책위는 지난 20일 간담회를 열고 머리를 맞댔다.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이하 추진단)이 지난 7월29일 수정 제안한 ‘부분 보존안’을 보완하는 최적의 안을 만들어보자는 취지에서다.

대책위는 “4층 연결통로 수정안은 5·18 사적지의 가치와 의미를 반영하고 전당 출입구와 안내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건물의 안정성과 기본설계 컨셉 반영, 안전한 출입구 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또 “원로모임에서 제안한 보완내용을 수용함과 동시에 보존된 별관의 공간은 반드시 활용 가능하도록 방법이 마련돼야 한다”며 “강운태 시장과 10인 대책위가 문광부를 최대한 설득하고 그동안 지역사회 갈등과 대립의 원인으로 작용해 온 별관문제를 매듭지을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에 대해 강 시장은 “본관과 별관 사이의 통로를 만들 경우 민주·인권·평화도시인 광주의 정체성을 담아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번 안은 정부안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고 존중하면서 광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긍정평가 했다.
강 시장은 이어 “별관문제를 놓고 광주지역사회가 갈등과 대립을 빚어 왔으나 진전된 결과가 나온 것은 광주공동체의 성숙한 모습을 보인 것”이라며 “대책위 제안을 바탕으로 10인 대책위, 문광부 등과 적극적으로 협의해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와 추진단, 시민사회가 오랜 갈등을 딛고 ‘3인4각(三人四脚)’의 보폭을 맞출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