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인명사전 3권 발간
친일인명사전 3권 발간
  • 정영대 기자
  • 승인 2009.11.09 15: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 2800여쪽 분량…친일파 4,389명 명단 수록
김성수·윤치영·장지연 등 독립유공자 20명 포함

친일인명사전 전 3권이 발간됐다.

전체 2800여 쪽 분량에 친일반민족 행위자 4,389명의 명단이 수록됐다. 이번에 발간된 친일인명사전은 민족문제연구소(소장 임헌영)와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위원장 윤경로)가 제작한 ‘친일문제 연구총서’의 첫 번째 시리즈로 ‘인명편’에 해당된다.

▲전 3권으로 구성된 친일인명사전은 전체 2800여 쪽 분량에 친일반민족 행위자 4,389명의 명단이 수록됐다. ⓒ사진=최유진기자

편찬위원회는 “을사조약 전후부터 1945년 8월15일 해방에 이르기까지 일본제국주의의 국권침탈·식민통치·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함으로써 우리민족 또는 타 민족에게 신체적 물리적 정신적으로 직·간접적 피해를 끼친 자”를 대상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친일인명사전이 발간된 것은 1949년 6월6일 반민족행위자 처벌을 위한 특별위원회 해체 60년, 1966년 임종국 선생의 ‘친일문학론’ 간행 43년, 민족문제연구소 창립 18년, 편찬위원회 발족 8년만의 개가다.

이번에 수록된 명단은 최종발표 명단 4,776명보다 387명이 줄었다. 이 가운데 신현확 전 국무총리와 최근우 전 사회당 창당준비위원장, 이동훈 일본육사 소위는 완전히 제외됐다.

신 전 총리는 일제말기 근무지를 이탈해 고등관으로 부임하지 않았고 최근우 만주국 이사관은 독립운동단체인 건국동맹에 참여했으며 이동훈 소위는 3·1운동 때 일경에 끌려가 고초를 겪고 상해망명을 준비하다 사망한 사실이 확인돼서다.

하지만 나머지 384명은 추가조사 필요자, 해외활동자, 이의신청 수용자 등으로 분류돼 사실 확인여부에 따라 보유편(補遺篇) 발간 때 수록여부를 최종결정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친일인명사전에는 김성수 전 부통령과 윤치영 초대 내무장관, 장지연 황성신문 주필 등 20명의 독립유공자 명단이 포함돼 충격을 주고 있다.

<표>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중 독립유공자 명단

 

명단

훈․포장(수상연도)

명단

훈․포장(수상연도)

강영석(姜永錫)

애족장(90)

윤치영(尹致暎)

건국포장(82)

김성수(金性洙)

대통령장(62)

이동락(李東洛)

애국장(90)

김우현(金禹鉉)

애족장(90)

이종욱(李鍾郁)

독립장(77)

김응순(金應珣)

애족장(93)

이항발(李恒發)

애국장(90)

김홍량(金鴻亮)

독립장(77)

임용길(任龍吉)

애족장(90)

남천우(南天祐)

애족장(90)

장지연(張志淵)

독립장(62)

박성행(朴聲行)

애국장(90)

차상명(車相明)

애족장(90)

박영희(朴暎熙)

애족장)90)

최준모(崔俊模)

애족장(90)

유재기(劉載寄)

애족장(95)

최지화(崔志化)

애족장(90)

윤익선(尹益善)

독립장(62)

허영호(許永鎬)

애족장(90)


1905년 황성신문에 ‘시일야 방성대곡’을 써서 을사조약의 부당성을 개탄했던 장지연과 동아일보 창업주 김성수는 ‘매일신보’에 기고한 글이 문제가 돼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됐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친일행적이 분명하기 때문에 수록됐다”며 “잘못된 서훈이 발생한 원인은 체계적인 근대 인물정보가 구축되지 않아 해당 인사에 대한 검증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최근 지자체들이 친일행위자들에 대해 무분별하게 기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기념대상은 삶과 언행이 일치하고 사회적 도덕적 가치기준을 충족하는 인물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친일인명사전은 발간되기까지 두세 차례의 어려움을 겪었다. 첫 번째 어려움은 1997년 IMF 위기 때 경제적 어려움으로 수많은 회원들이 뿔뿔이 흩어졌을 때였다.

두 번째는 2003년 12월 국회에서 관련예산이 삭감됐을 때다. 다행히 2004년 네티즌과 국민성금으로 모은 7억여 원과 회원 5000여명의 회비로 위기를 넘겼다.

세 번째는 2005년 8월29일 3090명의 명단과 지난해 4월29일 4776명의 최종명단을 발표했을 때다. 수록예정자 후손들의 이의신청과 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이 쇄도했고 우익단체들의 반발도 거셌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역사적 과제를 시민들의 힘으로 해결한 사례는 없었다”며 “시민들이 직접 나서 역사적 정의실현의 단초를 열었다는 점이 무엇보다 의미 있는 성과”라고 평가했다.

또 “한국 근현대사 금기의 영역이 최초로 공개됨으로써 최근 퇴행적인 역사인식에 경종을 울리고 성찰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우리 내부의 부끄러운 역사를 고백하고 용기 있게 진실을 대면함으로써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했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민족문제연구소와 편찬위원회는 이번 친일인명사전 발간에 이어 2015년까지 일제협력단체사전, 식민지통치기구사전, 자료집, 도록 등 총 20여권의 친일문제연구총서를 완간할 계획이다.

   
▲ 지난 8일 열린 친일인명사전 발간 국민보고대회에서 백범 김구 묘역에 헌정된 사전을 한 참가자가 보고 있다. ⓒ사진=최유진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