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화야말로 문화산업의 성공 비결”
“지역 특화야말로 문화산업의 성공 비결”
  • 오윤미 기자
  • 승인 2009.07.15 1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 불붙은 캐릭터 경쟁 ⑥에필로그
저평가 되는 지역문화원형 활용방안 고심해야

21세기 화두는 단연 문화다. 문화시대 도래의 가장 큰 수혜자는 아이러니하게도 문화소외 지대인 ‘지역’이다. ‘문화 사각지대’라는 꼬리표가 붙던 지역들은 문화를 향유하는 대신 문화산업에 직접 뛰어들었다. 

문화콘텐츠 활용 소재로 문화원형이 각광받기 시작하자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화자원이 풍부한 지자체들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 이를 놓칠 리 없는 지자체들은 재빨리 문화산업에 뛰어드는 등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러나 ‘문화로 밥 벌어 먹고 사는 시대’는 멀고도 험했다. 지자체들은 의욕적으로 문화산업에 뛰어들었지만 문화의 특수성과 산업 이해도가 낮았던 지자체들은 문화를 십분 활용하지 못했다.

죄다 똑같은 옷을 입고 ‘문화’를 팔려는 지자체들에게 돌아온 건 되풀이 되는 고증 논란과 베끼기 문화 행사에 대한 비난뿐이었다.

▲ 지자체들에게 문화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돈벌이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지자체들의 낮은 문화활용도는 문화산업 기초가 되는 지역문화원형 자료수집에 소홀한 탓이다. 사진은 명량대첩제 모습. ⓒ해남군청

그럼에도 불구 지자체들은 또 다시 문화산업에 열을 올린다. 매년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붓고 있는 지자체들의 문화산업이 이토록 자리를 잡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6회에 걸쳐 각 지자체들이 떠안고 있는 문제를 살펴본 결과 가장 큰 문제는 ‘실체 없는’ 문화에 대한 저급한 이해도였다. 지자체들에게 문화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돈벌이 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지자체, 저급한 이해로 문화를 돈벌이 취급

그러다보니 타 지자체에서 인정받은 특정 문화원형에 ‘고증’을 입혀 네 것 내 것 밥그릇 싸움을 벌이는 일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순신 관련 프로젝트와 홍길동 연고지 분쟁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는 가치에 비해 저평가되고 있는 지역의 숱한 문화원형들이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자체들은 문화원형 활용방안은 고심하면서도 정작 문화원형 기초가 되는 기록과 수집엔 소홀하다. 문화산업에 선행돼야 할 지역문화원형 자료 수집을 하는 지자체는 찾기 보기 어렵다.

민간 연구기관이 턱없이 부족한 것도 문제다. 매년 두세 개의 축제를 열면서도 예산 부족을 이유로 민간 연구기관 지원엔 인색한 것. 고작 축제 행사 일환으로 학술제를 하는 것이 전부다.

▲ 지역이 지닌 '지역성'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지역의 미래는 불 보듯 뻔하다. 지역성이 특화된 문화산업이야 말로 지역의 미래이자 대안이다. 사진은 여수진남제 모습. ⓒ여수군청.

문화산업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연구용역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 역시 간과할 수 없다. 결과 예측이 과대포장 되거나 빈약한 연구 내용은 문화 산업의 직격탄이다. 연구용역에 참여했던 한 교수는 “될 만한 장사 찾기에 혈안이 돼 있는 지자체 입장에선 연구용역에 대한 믿음이 절대적이지만 연구용역이 실체가 없는 경우가 수두룩하다”며 “구체적인 내용이 빈약하고 수사가 많아 내용보다는 치장하는데 주력하는 경우도 많다”고 꼬집었다.

광주시 역시 별반 다르지 않다. 5조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 초대형 국책사업인 아시아문화전당은 개관까지 3년 남짓 남았지만 콘텐츠 활용방안은 언급조차 되지 못하고 있다.

풍부한 남도자원 기록·수집하는 작업 선행돼야

도청별관 논란에 눌려 관심 밖 대상이 된 콘텐츠 사업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전당의 핵심인 문화콘텐츠 사업은 교류원 등 5개원이 선순환구조로 문화자원을 수집, 기록하는 아카이빙 작업에서부터 문화상품으로 재창조되는 문화콘텐츠까지 하나의 완결적 구조를 갖는다.

전당에 대한 기대감은 곧바로 문화자원이 풍부한 남도 자원의 활용 여부로 표출됐다. 지역에 흩어져 있는 문화자원이 한데 모여 문화산업의 주춧돌이 될 거란 지역의 기대감은 높을 대로 높아졌지만 활용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적어도 1년 전에는 콘텐츠 활용 프로그램이 확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전당은 아직도 제 자리를 찾지 못한 채 겉돌고 있다. 아시아문화중심추진단은 모든 책임을 장기 표류한 도청별관 논란으로 돌리고 있지만 콘텐츠 활용에 대한 우려를 잠식시키기는 어려웠다.

자칫 뜬구름 잡기식의 허황된 산업으로 그칠 우려가 있는 문화산업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한 대안은 없는 걸까. 전문가들은 “지역의 한계를 풀 수 있는 열쇠 역시 지역이다”고 말한다.

정경운 전남대 교수는 “지역 문화산업이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지역민들의 공감을 바탕으로 지역특색을 강화해야 한다”며 “문화원형에 대한 기본 이해 없이 지역경제 활성화 수단으로 문화를 이용한다면 문화산업은 지역의 장기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즉, 지역이 지닌 ‘지역성’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지역의 미래는 불 보듯 뻔하다는 것. ‘지역성’은 곧 문화산업의 내용인 ‘콘텐츠’와 직결된다.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답을 찾는 문제 역시 지역에서 시작돼야 한다. 지역성이 특화된 문화산업이야 말로 지역의 미래이자 대안이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