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별관 논란, 해결 위한 물밑작업 한창
도청별관 논란, 해결 위한 물밑작업 한창
  • 오윤미 기자
  • 승인 2009.01.07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대위·추진단 세 차례 실무회의…1월 말까지 해결 ‘낙관’

노동시장 유연화가 비정규직 양산 규모를 커지고 있는 가운데 노사분규 역시 장기화되고 있다. 또 지역사회에서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제시되고 실현돼야 할 과제들이 놓여있다. 몇 회에 걸쳐 장기화되고 있는 문제들을 되짚어 보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그 마지막으로 도청별관 문제를 다뤘다.

   
▲ 논란이 되고 있는 도청별관 건물(점선 표시)은 아시아문화전당이 들어서면 전당 진입로가 된다. 추진단은 전당 출입문인 만큼 도청별관 철거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한 반면 일부 오월 단체에서는 터널 방식이나 지하 출입문, 1/3 보존 등 ‘부분 보존’을 위한 대안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 최대 현안인 도청별관 논란이 새해 들어 해결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이하 추진단)과 옛 도청보존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 양측은 구체적 언급은 피하면서도 이달 말까지 해결될 수 있을 거라고 조심스럽게 낙관했다.
  
도청별관 문제가 불거질 당시만 해도 해를 넘길 거라곤 그 누구도 예상치 못했다. 해결 실마리를 찾기 위해 마련된 토론회 역시 팽팽한 입장차만 확인한 채 성과 없이 마무리됐다.   

시간이 흐를수록 갈등의 골은 깊어져만 갔다. 해결보다는 갈등 양상에 초점을 맞춘 언론 역시 갈등을 부채질 했다. 지역 공적주체들도 예외일 순 없었다. 해결 없는 답보상태가 계속되자 불똥은 지역 공적 주체들에게 튀었다.

‘침묵의 카르텔’이란 비난을 받은 시민사회단체들은 저마다 한마디씩 거들고 나섰지만 해결을 촉구할 뿐이었다. 하나마나한 소리일지언정 의견을 제시한 시민단체와 달리 광주시는 침묵 또 침묵했다.
  
지난해 12월 22일 박광태 광주시장 송년 기자회견을 통해 처음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박 시장은 “그동안 추진단이 문화전당 건립에 관해서는 설계와 보상, 철거 등 논의과정에 국책사업이란 이유로 광주시가 관여하지 말아달라고 했다”며 “이제 와서 사태가 악화되자 광주시 의견을 묻느냐”고 불편한 속내를 털어놨다.
  
박 시장은 “추진단과 공대위가 시 결정에 따르겠다는 전제 하에 조정해 줄 것을 시에 위임하면 중재에 나설 수 있다”며 “양측이 위임해주면 여러 복안과 시민 등 각계 의견수렴을 거쳐 결정하겠다”고 때늦은 의견을 피력했다.
  
박 시장 발언에 대해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중재 조건으로 모든 권한을 넘기라는 것 자체가 형식에 맞지 않을 뿐 아니라 터무니없다”며 “해결하려는 의지라기보다는 면피용 발언이다”고 지적했다.
  

▲ 도청별관 해결을 위한 지역 공적주체들의 중재 노력에도 불구 해결점을 찾지 못한 채 결국 해를 넘긴 ‘도청별관 논란’이 새해 들어 해결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공대위와 추진단은 실무회의를 통해 이달 안에 합의점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시민의소리> 자료사진.

이유야 어찌됐건 지역 공적 주체들의 중재 노력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12월 광주는 ‘도청별관 논란’으로 시끄러웠다. 해를 넘기면서 별관문제는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 속에 해결 실마리를 찾고 있다. 공대위와 추진단은 지난해 말부터 세 차례 실무회의를 갖고 내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한 언론플레이를 자제한 채 양 당사자는 물밑작업을 진행 중이다. 늦어도 이달 말 안에는 해결을 볼 것이라는 게 지배적이다. 공사 중단 두 달 이후부터 지불해야 하는 공사 지체보상금 날짜가 1월 말이라는 점 역시 낙관론에 무게를 실어준다. 공사 중단 하루 초과일수마다 1천 1백여만원을 지불해야 한다. 
  
해결 변수는 제 3타협안이다. 원칙보존만을 주장하던 공대위가 한 발 물러선 입장을 취한  가운데 어느 선까지 양보하느냐가 관건인 셈.
  
공대위 관계자는 “5월 역사가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문화전당 공사가 이뤄지는 방법이 있다면 양보할 수 있다”며 “추진단도 별관 철거를 전제한 대안만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타협가능한 안을 놓고 이야기가 돼야 진전이 있지 않겠느냐”고 속내를 털어놨다.
  
오월 단체 내에서는 터널 방식이나 지하 출입문, 1/3 보존 등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공대위는 내부적으론 ‘부분 보존’으로 의견을 모았음에도 불구 아직까지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는 이유는 추진단이 거부할 경우 겪게 될 내부 진통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안성옥 대외협력국장은 “더 이상 시간 끌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님을 추진단과 우리 모두 인식하고 있다”며 “어떻게든 구정 안에 합의점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으니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선재규 추진단 전당운영협력과장 역시 “해결 실마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언론에 자꾸 노출되다 보니 사소한 오해로 해결이 안 되더라”며 “모두가 만족할 만한 해결안을 도출하기 위해 양측 모두 진지한 자세로 임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실종된 지역 오피니언 리더들의 역할이 아쉬운 가운데 시민사회단체들도 조만간 의견조율을 위한 연석회의를 준비 중이다. 해를 넘겨서도 계속되고 있는 도청별관이 슬기롭게 해결되기를 기대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