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개혁 기자실서 불붙다
언론개혁 기자실서 불붙다
  • 시민의소리
  • 승인 2003.03.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정부 출범과 함께 청와대와 문화관광부를 시작으로 정부부처가 앞장서 언론개혁의 불을 당기고 있다. 이는 참여정부의 출범직전 청와대의 '기자실 운영계획'이 발표됐고, 문화관광부에서도 '홍보업무지침'이 뒤따랐다. 그리고 이는 지난 27일 정부 각부처 공보관회의에서 그 결정판으로 이어졌다.

정부부처의 잇따른 언론관련 정책은 '개방형 등록제'도입과 '브리핑룸제' 신설을 주요내용으로한 기자실운영방안으로 맞춰져있다. 청와대의 경우 오는 6월부터 현행 출입기자단제도를 없애고 출입기자 등록제로 전환하는 것을 비롯해 정례브리핑 실시, 지정부스 폐지 등을 담고 있다. 출입기자 등록제는 기존의 '허가'된 언론사의 기자로 한정되던 출입자격을 대폭 확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매체를 비롯해 일정한 자격을 갖춘 언론사로서 등록을 하면 출입자격을 주어 이 제도가 실현되면 현행 46개사 85명의 기자 수가 130여 개사 150여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언론관련 주무부서인 문화관광부가 내놓은 '홍보업무지침' 역시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전환하겠다는 내용과 근무시간내에 기자들의 문광부 출입제한이 주요 골자다. 그리고 이 방침의 배경에는 행정정보공개의 강화가 깔려있다.

새정부 언론개혁안 '기자실'로 맞춰
브리핑룸제와 출입기자등록제
언론계반발 …취재관행 변화 예고


이러한 변화는 '국민의 알권리제한'이라는 언론계의 반발도 사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기자실 운영안을 최종 확정함에 따라 각 자치단체는 물론이고 언론계에서도 기존의 취재관행에 변화를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와 문광부의 기자실에서 불고 있는 변화의 바람은 이미 지방자치단체들에서 앞서 불었던 것이기도 하다. 지방자치제의 부활과 함께 이미 95년 남해군에서 기자실을 폐쇄했고, 안티조선운동과 함께 불기 시작한 시민단체의 언론개혁의 바람도 기자실로 이어졌다. 특히 공무원노조의 출범과 함께 현장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기자실 개혁운동이 본격화됐다. 월간 『신문과 방송』2002년 9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7월말 현재 전국적으로 모두 47개의 자치단체(광역1곳 포함)에서 기자실이 폐쇄되거나 브리핑룸으로 전환된 것으로 조사됐다.

올 들어서는 이 지역에서도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직원들이 앞장서 구청사내의 기자실을 폐쇄시키기도 했다. 광산구청의 경우, 기자들이 '점잖게' 기자실을 비워줌으로써 무리가 없었지만, 전남 신안군을 비롯해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기자단과 공무원직장협의회측간의 갈등이 법정공방으로 비화되는 등 적잖은 파장도 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야흐로 새정부 출범과 함께 언론개혁의 구체적 실현단위가 기자실의 문제로 집약되고 있다. 그렇다면 언론개혁이 기자실로 집중되는 이유는 뭘까.
이에 본지는 현재 언론개혁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자치단체 기자실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그 대안에 대해 2차례에 걸쳐 싣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