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청년,'취업' '주거' 바람 vs 대선 후보 청년공약 '미흡'
광주 청년,'취업' '주거' 바람 vs 대선 후보 청년공약 '미흡'
  • 김경욱 기자
  • 승인 2021.12.15 16: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대선·지선에서 2030세대를 위한 정책 결여
광주 청년 고민, ‘구직·이직’, ‘내집 마련’
​​​​​​​"현금성 보다는 구체적·실천적 청년 정책 절실"

광주지역 청년들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정책 지원 내용 가운데 '주거'와 '취업' 정책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정책에 대한 구체적 실질적 정책이 아쉽다는 2030세대들

이같은 결과는 광주시가 지난 8월 실시한 '코로나19로 인한 청년들의 삶의 변화 실태'를 통해 조사됐다.
비록 조사 대상이 지역청년(1천명)으로 국한되기는 했지만 비단 광주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것이 공통된 시각이다.

청년들이 가장 부담스럽게 느끼고 대목은 구직·이직과 내집마련 문제다.
더욱이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취업자의 40%(미취업자는 37.8%)도 향후 1년 내 대출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그 용도로 생활비와 주거비(각 37.9%·34.0%)를 꼽았다. 청년들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다만 청년들이 제언하는 청년정책은 연령대별로는 다소 온도차를 보였다.
19세에서 24세 사이 지역 청년들은 ▲학생맞춤형 청년 정책 발굴을, 25~29세는 ▲구직활동 인센티브제와 양질 취업기회 확충 ▲젠더갈등 해소에 방점을 찍었다.

30~34세는 ▲취업자 전용 청년 정책 개발 ▲중소기업 종사자 지원 확대 ▲내집마련기회 제공을 바랐다. 35~39세는 ▲내집마련기회 제공 ▲재취업교육 지원 정책이 가장 절실하다고 꼽았다.

19세에서 24세까지의 대학생, 취업 준비생, 사회 초년생 등은 생활비나 구직 활동비와 같은 실질적 경제 지원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반면 25세 이상은 주거 해결이나 재취업 교육과 같은 사회적 안정화 시스템에 더 주안점을 뒀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지역 청년 10명 중 4명이 전일제 또는 시간제(아르바이트) 일자리를 잃은 탓에 소득 감소를 경험하고 있는 점도 이러한 청년 정책의 발빠른 대응을 주문하고 있는 셈이다.

광주지역 청년들의 이러한 요구가 대선 공약이나 정책 개발로 이어질지가 주목된다.
3·9 대선에 이어 6·1 지방선거까지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다.
최대 부동층으로, 스윙보터인 이른바 ‘2030세대’가 어떻게 움직이냐에 따라 중도층 잡기에 나선 여야 대선후보들로서는 당략의 변수롷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후보들은 저마다 청년을 전면에 내세운 선거조직을 출범하는가 하면 청년 공약 발굴에 기본소득 도입 등 현금성 지원 정책까지 앞다퉈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정녕 청년들의 반응은 의외로 냉담하다. 선거철에만 반짝 청년 문제에 집중하는 '말 따로, 행동 따로' 행태에 대한 실망감으로 분석된다.
광주지역 청년들이 홍보성 정책 보다는 '청년 감수성' 정착을 우선 과제로 꼽은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다. 취업과 주거 정책에 관한 한 현실성 있는 정책개발이 아쉽다는 대목이다.

실제로 이재명·윤석열 양대 정당 후보는 물론 심상정, 안철수에 이르기까지 대선 출사표를 던진 주요 후보들은 청년 중심 선대위 발족 등 원론적 언급에 그치고 있다.

당내 경선 과정에서 이재명 후보는 연간 200만원 규모의 청년기본소득 도입을, 윤석열 후보는 저소득 청년에 50만원 상당의 도약보장금 최대 8개월 지급과 같은 현금 지원 방침만 밝혔을 뿐 구체적이고 실천적 공약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