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147) 절명시(絶命詩)
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147) 절명시(絶命詩)
  • 장희구 시조시인/문학평론가
  • 승인 2019.11.13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물거리는 촛불이 창천(蒼天)에 비치구나[1]

시인이 남긴 절명시는 칠언절구 4수로 이루어졌다. 제1수에서는 작가가 이미 순명에 대한 결심을 하고 있었음을 말하고, 제2수에서는 망국에 대한 슬픔을 나타내고 있다. 제3수는 지식인으로서의 자의식을 드러내고 있으며, 제4수는 충忠을 이루지 못하고 죽는 것에 대한 자기 한탄을 극명하게 표현했다. 시인이 절명시 한 편을 남기고 순명을 따라 몸을 바치지 아니할 수 없는 절박한 현실에 처해있음을 이해하기 위해 절구 4수로 읊었던 그 첫째 수를 번안해 본다.


絶命詩(절명시)[1] /  매천 황현

난리를 겪다보니 백두 년 되었구나,

목숨을 끊으려다 이루지를 못했는데

이제는 할 수 없네요, 창천 비친 저 촛불.

亂離袞到白頭年       幾合捐生却末然

난리곤도백두년      기합연생각말연

今日眞成無可奈       輝輝風燭照蒼天

금일진성무가내      휘휘풍촉조창천


가물거리는 촛불이 창천{蒼天}에 비치구나(絶命詩)로 제목을 붙여본 절구 4수 첫 번째다. 작자는 매천(梅泉) 황현(黃玹:1855∼1910)이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난리를 겪다 보니 이제 백두년(白頭年)이 되었구나 / 몇 번이고 목숨을 끊으려다 이루지 못했었네 // 오늘날 현실 참으로 어찌할 수 없고 보니 / 가물거리는 촛불이 창천(蒼天)에 비치구나]라고 번역된다.
위 시제는 [절명하면서 남긴 절구 시1]로 번역된다. 역사적 수난기에 대처하는 모습은 같을 수 없다. 사람에 따라서 역사를 이끄는 주체가 되기도 하고, 저항적이기도 한다. 학자는 농촌에서 생활하다가 국권을 강탈당하는 위기에 처하자 선비가 해야 할 도리에 대해 고민하며 비통한 심정으로 자기 의사를 표현한다.
시인은 1910년 8월 29일 한일 병합이 이루어지자, 그 소식을 듣고 하룻밤 사이에 ‘절명시(絶命詩)’ 네 편을 남기고 음독자살한다. 여기에서 어려운 역사 속에서 지식인으로서의 처신의 어려움을 말한다. 난리를 겪다 보니 백두년(白頭年)이 되었음을 상기하고 몇 번이고 목숨을 끊으려다 이루지 못했음을 한탄한다.
화자는 을사년부터 순명을 결심해왔음을 예고한다. 창천을 비출 촛불에다 자신의 외가닥 양심을 비유하고 있다. 둘째구로 이어지는 시인의 각오는 [요망한 기운이 가려서 제성(帝星)이 옮겨지니 / 구궐(九闕)은 침침하여 주루(晝漏)가 더디구나 // 이제부터 조칙을 받을 길이 없으니 / 구슬 같은 눈물이 주룩주룩 조칙에 얽히는구나]라고 했다. 불가피한 선택을 결심하는 결연함을 보게 된다.
위 감상적 평설의 요지는 ‘백두년이 되었는데 목숨잇고 살아가네, 어찌 할 수 없는 현실 가물거린 촛불 창천’ 라는 상상력이다.

 

================

작가는 매천(梅泉) 황현(黃玹:1855∼1910)으로 구한말의 시인이자 애국지사이다. 세도 정치기가 한창이었던 1855년(철종 6) 전라남도 광양에서 황시묵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선조先祖 중에는 세종대왕 시절 명재상으로 잘 알려진 ‘황희’와 병자호란 때 의병장을 지낸 ‘황위’ 등이 있었다.

【한자와 어구】
亂離: 난리. 袞到: 이르다. 白頭年: 머리가 세어진 나이. 蒼天: 푸른 하늘. 창공 幾合捐生: 몇 번이고 목숨을 끊으려고 생각했다. 却末然: 문득 이루지 못했다. // 今日: 오늘날. 眞成無可奈: 참으로 지금은 어찌 할 수가 없구나. 輝輝風燭: 가물거리는 바람 앞의 촛불. 照蒼天: 창공을 훤히 비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